[번역] 난 예술 땜에 왔거든요

번역 작업 사이트: w.yokim.net/ExposingWhiteness

난 예술 땜에 왔거든요 [한국어 번역]
백인성을 들추어 내고 그리고 비백인 공간을 모색 하며
데이빗 뢰디거

I CAME FOR THE ART [korean translation]
Exposing Whiteness and Imagining Nonwhite Spaces
by David Roediger
artpapers.org/feature_articles/feature1_whiteness_M_J_03.htm

다음 글은 현재 라구나 예술관 [Laguna Art Musem] 에서 2003년 6월6일 까지 전시중인 “백인성, 먼길의 구조[A Wayward Construction]”의 카탈로그를 위한 데이빗 뢰디거의 글을 요약한 것입니다. 백인성의 정체성 정치역학과 문화이론을 모색하는 예술가들을 위한 공간인 이 전시회는 세 부분 – “White Out [“백인은 나가라” 또는 “하얗게 닦았네”], “거울, 거울…” 그리고 “백인성의 회색화”로 나뉘었습니다. 뢰디거 교수님의 글은 이 중 두 번째 부분 [거울, 거울..]에 대한 입문입니다. 편집부는 이 글을 위해 도와주신 전시회 장 타일러 스톨링 [Tyler Stallings]님과 라구나 예술관의 스튜어트 바이어 [Stuart Byer]님 및 데이빗 뢰디거님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이 글은 라구나 예술관 (www.lagunaartmuseum.org) 협찬입니다.

내가 마지막으로 예술 세계에 발을 담갔을 때에, 열 살이 채 안되는 소녀가 가장 인상적인 한 마디를 남겼다죠. 그때 참말로 얼마나 백인성이 유리하고 유리하지 않은지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내가 세인트 루이스 [Saint Louis] 시의 남쪽에 위치해 있는 자그마한 예술관에 연설하러 갔을때 말이죠.. 때는 Ron Sakolsky의 최신 모음집 “초현실주의적 반란들” [Surrealist Subversions] 의 기념이였고, 난 1929년에 있었던, 세상을 백인주의를 넘어서 보려던 초현실주의 시도에 대해서 짤막한 연설을 준비했더레요. 아무래도 Yves Tanguy 님이 그린 것 같은 이들의 주요 작품 중 하나는 대서양이 아니라 태평양이 중심인 세계지도였어요. 이 지도를 보고 우리 아이가 “그거 왜 그리 후졌냐” 그랬어요. Tanguy 는 미국과 영국을 축소해버리고선 오세아니아를 확대했어요. 제가 원래 말하고자 했던 바는, 이 작품이 표현하는 세계를 바꾸지는 못했다면, 적어도 우리들이 얼마나 과잉개발된 백인 세상에 집착하는 지에 대해서 생각할 공간을 만들어냈다는 것입니다.

존 훼오도로프, 사무실 무당, 2001, 여러 재료
John Feodorov, Office Shaman, 2001, mixed media, variable dimensions (courtesy the artist).

아무래도 이 이벤트가 동네 축제 [homecoming – 미국서 고등학교 동창들이 매년 모여서 미식 축구 보는/하는 행사] 같은 분위기로 흘러가니 좀 더 연설을 개인적으로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미리 준비한 것은 쓰지 않기로 했습니다. 이 예술관은 제가 자라난 동에 위치해 있었고, 동네의 여전함과 급진적 변화는 제 혀를 자극했지요. 여름철 무더위와 미시시피 강 특유의 습도, 그리고 가난한 사람들이 밖에 나와서 빵 굽는 벽돌위에 있는 풍경도 너무나 친근했죠. 고기 굽는 냄새는 아직도 술 빗는 곳의 악취와 마구 섞이고. 한 때 백인 다수이고 당당하게도 분리주의자였던 이 지역은 많이 [인종적으로] 섞이게 되었구.. 바로 풍覺?서쪽에 있는 쇼핑구역은 생명력 뛰어난 라티노 거점을 형성했고, 흑인 가정들이 늘어나면서 앞뜰과 뒷마당에서 고기 구워먹는 것과 더위를 피하는 것도 더 사람다와졌더라구. 오랫동안 북/남을 기준으로 분리되어있던 도시는 이제 남쪽의 깐깐하기로 소문난 동네에서까지 인종적으로 섞인 골목들이 생겼더라고.

예술관 내의 다양함도 그에 못지 않았어. 호화롭게 치장한 예술 애호가들과 동네 젊은이들이 꾸역 꾸역 몰려들고 연설자 목소리가 들리라고 선풍기를 고맙게도 (?) 꺼 주니.. 그 열기가. 난 어떻게 실생활이 인종의 어리석음과 폭력을 비웃고 몇몇 백인들이 사는 비백인 공간을 만들었는지에 대해 이리저리 회상을 내비쳤어. 연설이 끝나고 예술관 주인과 나는 바깥에 나가서 바람을 좀 쐬며 동네가 얼마나 바뀌었는 지에 대해 이야기를 했지. 주인은 다인종 주민들의 연대 작업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며 날 즐겁게 해주었어. 그리고 우리는 무너져가는 벽돌 건물에 도착했는데, 여긴 아마추어 역사가들이 옛날에 지하 철도 [underground railroad – 노예 제도 시대 흑인들을 북쪽으로 빼돌리는 연결망] 의 거점으로 사용‰榮募 것을 증명한 적이 있어. 요즘 이곳 운동가들은 개발자들과 싸움이 한창이야 – 개발자들은 땅 좀 치우고 건물 짓자고 난리지, 운동가들은 여길 역사 보존 지역으로 만들자고 하지.. 노예 시대의 성스러운 비백인 공간이 이십일세기의 비슷한 공간을 형성하는데 일조한 셈이야.

이 날의 가장 감동적인 부분은 그게 아니고. 우리가 예술관으로 돌아오면서 열한살 정도 될까 하는 African-American 소녀를 만났어. 그녀는 개막식에 참석했다가, 집에 잠깐 들르고는 다시 돌아와서 아직도 행사가 진행중인지를 알고 싶어했어. 그렇다고 말해주면서, 과자도 있으니 가서 음식이랑 과자랑 집어가라구 그래줬어. 그랬더니 얘가 뭐라는 줄 알어? “과자는 아무래도 상관 없어요”, 아주 강경하게 말이야 – “난 예술 땜에 왔거든요”. 오호, 이 예술관은 졸지에 공동체 종합 예술 센타로서 몫을 단단히 하고 있었구나. 세인트 루이스의 가장 백인적인 공간 중 하나가 더 이상 그렇지 않고, 예술이 그 과정에 영향을 끼친 게야. [번역 주: 미국에서 예술은, 그것이 비싸던 대안이건 무료이건 저항 예술이던간에, 백인들이 너무나도 많다. 그럼으로 인해 유색인의 대중적인 인식도 이에 제한되고]

즐거움은 예술관 주인이 계속 얘기하면서 줄어들었지. 그의 말에 의하면, 도시 관리들은 유적이 지하 철도이건 아니건간에 싹 철거해 버리고 건물을 짓자는 대에 대해 아무 문제 의식을 못 느끼는 것 같았어. 아이러니 하게도 마약상, 포주와 창녀들을 성공적으로 다른 곳으로 보낸 다인종 연대는 그 값을 치뤄야만 했어. 자산 가치가 올라갔는데, 연대 구성원들은 집세를 내는 처지였어서, 갑자기 세가 세 배로 오르는 경험을 했지. 부동산 업자들은 이제 그 동네를 가까운 곳에 있는 분리주의 지역의 일부분인 것 처럼 소개를 했고, 재치료 매상은 폭락했구. 이 얘기를 들으며 전시회에 모인 위스콘신, 일리노이 및 미주리에서 부터 온 사람들은 어떤 방법으로 싼 전세를 원하는 예술가들이 가끔 “백인쪽으로 가는” 분리주의를 시작하는지에 대해 얘기를 했어. 어떤 이들은 다인종 동네 주민들에게 강도를 맞이하는 것이 콘도미니엄 개발자들을 맞이하는 것보다 나을 것인 가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또 어떤 이들은 자산 가치를 일부러 낮춰버리면 (예를 들면 낙서 같은 전략) 그게 공동체 형성과 공존할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생각해 보았어. 그 날 밤에 우리는 비백인 공간이란 것이 가능하면서도 얼마나 불안정한 것인가에 대해서 배운것이야.

수년 전 부터 기자들이 내게 던진 몇 가지 좋은 질문에 대해서 생각 해오고 있었다. 하나는 BBC 국제담당 기자가 생중계 인터뷰중 물어온 것인데, 좋은 의도를 가지고 백인다수인 청취자들에게 미국 백인성 비판적 연구의 핵심을 소개 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누가 미국에서 제일 백인스럽냐고 물어보았다. 망설이지 않고 “러쉬 림보 [Rush Limbaugh]”라고 대답하며 그가 흑인 구술 전통 [African-American speech] 중 minstrel show [노예 제도 시대 중 백인들이 얼굴에 검정을 칠하고 흑인 흉내를 내며 유희를 즐기던 연극 형태]와 유사한 점은 억제해 버린다는 것을 설명해 주었다. 이게 왜 흥미로운 선택이냐 하면, 림보의 라디오 프로그램은 희안하게도 표면상으로는 색깔 없는 것을 아주 대담한 인종 차별과 조합하기 때문이다. (1) 대답후 아차!, 하며 백인성을 보수주의, 남성성 및 의도적 인종 차별과 너무나도 가볍게 동일시 해버린 것을 후회했다. 빌 클린턴, 빌 게이트나 마돈나의 숨겨진 백인성을 언급하는 것이 아마 백인 정체성이 문화 감각의 저 너머에서 정해진 기준과 스스로를 인종적으로 공개하지 않아도 되는 힘의 관계로서 작용하는 것을 이해하는 것에 더 도움이 ‰瑛만라.

월스트릿 저널 기자에게서 받은 두번째 질문은 너무 친숙하고 명석했다. 우리는 내가 뭐라고 대답하던지 그의 기사는 학계의 백인론을 바보로 만들어 버릴 것이란 것에 대해서 농담을 주고받았다. 일부러 비판적인 그의 질문 –“미국에서의 백인적 공간을 찾으실 수 있나요?” –의 이면에는 백인성과 예술에 대해서 생각해보며 쓸만한 문제가 포함되어있다. 당시에 우리가 위치 해 있던 미네소타 주를 언급하려는 유혹에 잠깐 빠져들었다가 그 대신 미국 몰 [Mall of America – 미네소타에 위치한 쇼핑몰로 미국 최대 규모임] 을 골랐다. 넓은 의미로서의 백인성-도회지-소비문화에 대한 이야기도 되지만 내가 하고자 하는 말은 훨씬 더 직접적인 형태의 인종차별 – 저녁이 되면 보안 관리들을 동원해서 흑인 꼬마 아이들을 몰에서 못 들어오게 하려는 조치 – 을 말하려는 것이었다. 좀 의외로 나의 두번째 대답은 인터넷이었다. 이것이야 말로 모든 경계선이 녹아 없어지는, 인종 없는 테크노피아로 여겨지지 않던가? 사실은 영원토록 백인의 영토였으면서 말이다. (인터넷에서 “다인종 [interracial]” 을 찾아보면 미국의 인종/성 관념을 재활용하는 수천개의 포르노 사이트가 뜬다)

BBC와 월스트릿 기자의 질문에 대해 몇년간 생각 해 본 이후 이제 나는 더 자신있게 대답할 수 있을 것 같다. 가장 백인스러운 사람: 마르타 스튜어트 [Martha Stewart] (그녀의 복잡한 백인 배경은 현재 그녀의 주식시장 부정과 동시에 조사되고 있다) 와 에미넴 [Eminem]; 콜린 파월 (이 사람의 이름은 내가 어딜 가서 “누가 가장 백인스러울까요?” 하고 물어보든 빠지는 날이 없다) 와 로라 부시 [Laura Bush]; 건설 업계 쪽의 노조 지도자중 아무나, 그리고 도널드 트럼프; 톰 브로커 [Tom Brokaw]와 , 윌리엄스 동지와 마티나 힝기스의 태니스 시합이 있을 때마다 그걸 체육 대 지성의 대결이라고 왈왈거리는 테니스 해설자. 이제 백인적 공간을 함 볼까? 월 스트릿과 NASCAR 이벤트; 유색인들이 제외 되는 클럽장과, 그들을 가두는 슬럼가 [barrio]; 교육 기관과 주류 교회들; 백악관 [아니라는 광고에도 불구하고] 와 베네통 [Benetton] 가게; 국가 미식축구 협의회 경기장과, 거, The O’Reilly Factor [미국의 인기있는 토크쇼]를 주최하는 놈 – 그 놈의 양 귀 사이에 존재 하는 공간.

이렇게 다양한 명단이 존재함으로, 백인성을 들추는 것은 복잡한 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일 작가 및 운동사 아모자 세개의 강 [Amoja Three Rivers]님이 말하는 것처럼 역사상, 백인성은 “정치 연합”의 형태를 지니고 발전하였다면, 이는 힘, 민족, 성정체성, 스탈, 종교, 나이 및 젠더등에서 각각 다른 사람들을 하나로 묶어줄 것이다.(2) 법학자 체릴 하리스 [Cheryl Harris] 가 백인성이 그 주인들을 모여주게 하는 소유의 일종이라는 이야기를 하면서 그녀가 동시에 증명하는 것은 [인종적] 소유는 다른 형태의 소유를 아주 많이 가진 자들이 가장 아쉬워 하고 동시에 –비극적으로- 자신들이 아무 것도 소유하지 못하여서 백인성에 그토록 매달리는 자들도 있다는 것이다.(3) (백인들에 의한) 백인종 내부에 존재하는 다름과 비합리성에 대한 투정은 표면상의 일치와 새로운 문제들을 동시에 야기하므로 백인성을 간단하고 한마디로 설명이 되는 듯이 축소해버리는 이론만 가지고는 더 이상 건설적이지 못하다. “그 누구도” – 에드워드 사이드 [Edward Said]가 그런 적이 있지- “한 가지 [정체성] 만 될수는 없다”.(4) Kavin Buck과 John Feodorov의 작품이 보여주듯 예술이란 것은 흑인 여성주의자들이 적절하게도 “정체성의 [다중]동시성”이라 부른 그 무엇을 제대로 조명할 수가 있다.(5)

에밀리오 꾸에또, 가버려따, 2002, 유화, 84×60 인치 (예술가 및 Los Angeles, Newspace 예술관 협찬)
Emilio Cueto, Gone, 2002, oil on canvas, 84 by 60 inches (courtesy of the artist and Newspace Gallery, Los Angeles).

예술가와 작가들에게 백인성을 들추면서 더욱 더 복잡해지는 것은 “백인” 이라는 것이 얼마나 많은 것들을 의미하는지, 인종이 아닌 것 처럼 보여주는 때 가 많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에밀리오 꾸에또의 날카롭고 거의 전체가 백색인 “가버려따” (2002)는 여러 겹의 의미를 괘뚫는다. 물론 인종에 대한 이야기도 되지만, Piet Mondrian 같은 이들의 작품과도 일맥상통한다. Mondrian은 백색을 다른 전제 하에 사용하곤 그의 작품에 대한 [다른 이들의] 읽기는 거의 인종에 대한 언급이 없기 때문이다. 꾸에또의 작품은 우리들에게 인종으로서의 백인성과 그 밖의 공백성, 부드러움, 비어있음, 차가움, 죽음, 순수, 자아 발견등등의 백인과 관련된 것들과의 연결점에 대해 생각하게 하고, 그런 연결의 방향에 대해 고개를 갸웃거리게 한다. 헤르만 멜빌[Herman Melville]이 이미 백오십년 전에 제시한 모비 딕의 소설 속의 “고래의 백인성”, 그리고 “하녀들의 타르타러스 강” [The Tartarus of the Maids] 에 나오는, 차갑고도 천천히 죽어하는 공장 여자 노동자들의 백인성 – 꾸에또는 색상을 인종을 초월하는 기표로 사용하면서도 그 인종적 의미를 무시하지도 않는다.

우리의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질문은 아마 “가버려따” (제목 좀 보시라!) 가 묻는, 캔버스가 항상 백인적인 공간인가, 그리고 그것이 자신을 아니라고 선언했을때만 결국, 그리고 혹시는 그러한 후에도 항상 백인적인 공간인지 물음일 것이다. 순수히 물리만을 생각한 것이 아닌 사회 관계를 고려 했을 경우, 캔버스라는 것이 다양한 색상과 그림들을 취한 후에도 밑바닥은 백인적인 것인가? 할리우드의 회색 스크린 처럼, 끝끝내는 흰색이 되는 것인가?

백인성을 들춰내는 일을 좀 더 배배꽈보자. Richard Lou와 Robert Sanchez의 “미친 인류학자들” [Los Anthropolocos – 인류학자 Anthropologos와 미친 이들 locos의 합성어] (1992)와 Mark Greenfield 의 흑인 연출 [blackface minstrelsy] 에 대한 단상은 참 골치스럽다. 적어도 백인 예술가들에게는 그러하다 – 또는 그 누구라도 미국 문화를 탐색하는 이들에게는 그럴 것이다. 그들의 작품은 백인 우월주의가 주류 인종이념 뿐만 아니라 “건너도 되는” 인종선의 넓은 경계를 이미 오래 전 그려 놓았다는 것을 우리에게 알려주며, Susan Gubar 의 “인종갈아타기” [racechange] 에 대한 연구 결과를 재확인 시켜준다. “Ch.D.s” (“치카니즘 박사들” [Doctors of Chicanismo]) 으로 등장하는 Lou 와 Sanchez는 누가 [인종적 선을] 건너는 것이 허락 되는냐하는 문제, 그리고 누가 누구를 대표할수 있느냐 하는 문제에 대해 후기식민지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하지만 “미친 인류학자들”은 불변하는 감각과 구조의 영향력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Greenfield가 씹어대는 minstrel 연기자들은 결국 관객 앞에서 화장을 하거나 지우거나 (또는 흰 손을 보여주기 위해 장갑을 벗는 다거나) 를 할 것인지 결정 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서 그들의 백인성을 완전히 드러내고 아주 적절하게 인종 건너기의 과정 자체를 지배하는 것이 연극의 일부였다는 것을 과시하는 것 아닌가?

피터 에드룬드, 노예 주의 정부 새 (J.J.Audubon 다음), 2001, 유화, 40×28 인치 (예술가 협찬)
Peter Edlund, State Birds of the Slave States (After J. J. Audubon), 2001, oil on canvas, 40 by 28 inches (courtesy the artist).

역사를 재 구성 하는 것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이 부분은 최근 성숙해가는 노예 제도와 Jim Crow 제도 보상에 대한 논쟁의 관점에서 볼 때 크나큰 정치적 의미가 있다. Peter Edlund의 아름다운 “노예 주” 새의 형상화는, 이 새들이 십구세기 John James Audubon이 기획하고 그려냈다는 점에서, 예술과 분류화 작업, 과학, 자연 그리고 (Audubon 의 관점에서) 다중인종의 일을 백인의 것인 마냥 지나친것을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합성은 다시 무엇이 “인종적”이며 무엇이 아닌 듯히 보이는 가에 대한 사색 그리고 백인성의 한계는 어디까지인가, 어느 중요 지점에 묶여있는가 하는 질문을 하게 만든다. 힙합 시수로 “모든 노예의 이야기는 현재형 동사를 쓴다”(7) 라고 하는 The Coup [곡 이름] 처럼, Edlund 는 과거와 현재의 차이가 과연 존재하는 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Kelsey Fernkopf, La Brea Faberge, 1999, mixed media,17 by 5 by 7 inches (courtesy the artist and Howard House, Seattle).

역사를 재 구성 하는 것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이 부분은 최근 성숙해가는 노예 제도와 Jim Crow 제도 보상에 대한 논쟁의 관점에서 볼 때 크나큰 정치적 의미가 있다. Peter Edlund의 아름다운 “노예 주” 새의 형상화는, 이 새들이 십구세기 John James Audubon이 기획하고 그려냈다는 점에서, 예술과 분류화 작업, 과학, 자연 그리고 (Audubon 의 관점에서) 다중인종의 일을 백인의 것인 마냥 지나친것을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합성은 다시 무엇이 “인종적”이며 무엇이 아닌 듯히 보이는 가에 대한 사색 그리고 백인성의 한계는 어디까지인가, 어느 중요 지점에 묶여있는가 하는 질문을 하게 만든다. 힙합 시수로 “모든 노예의 이야기는 현재형 동사를 쓴다”(7) 라고 하는 The Coup [곡 이름] 처럼, Edlund 는 과거와 현재의 차이가 과연 존재하는 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John Feodorov, Erika Rothenberg 또는 Kelsey Fernkopf 의 일련의 작품들은 백인성을 일부분 농으로, 일부분 심각하게 일상화된 소비의 객체 사이사이에 위치시킨다. Fernkopf는, 백인 정체성을 구성하는 온갖 똥 더미들을 던져줌으로서 독특한 방식으로 문제 제기를하는 것이다. 백인성과, 행복을 살 수 있다는 거짓 약속간의 연결을 펌프질 함으로써, “안전”과 “깨끗함”이란 단어를 말함으로써, 그는 James Baldwin의 저서 “입장료” [The Price of the Ticket] 에 집대성되어 있는 백인성, 하루 일상과 윤리에 대한 분석심리학적인 방법을 취해서 인종과 항문성 [anality?] 및 자본주의에 대한 에세이와 맥락을 같이 한다(8). 그런가 하면 Kavin Buck의 백인성, 헤테로성 [straightness] 그리고 진일보의 상호 연관은 초현실주의자 Franklin Rosemont 의 최근 주장인 예술가의 책임중 하는 백인을 몽상에서 깨워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9)

본 전시회의 “White Out” 부분에 약간 망설여 지는 곳이 있다면, 이는 두 분야에 걸쳐 나타날 것이다. 첫째는 백인 여성들이 지배적 인종 지위를 소유함으로서 그들이 힘을 지니게 됨과 동시에 찬양됨과 이등시민 지위에서 “보호된” 과정을 모색하지 않는 다는 것이다. 이미 학계에는Ruth Frankenberg, bell hooks, Lewis Gordon, Ida B. Wells, Audre Lorde, Kate Manning, Vron Ware, Louise Newman 과 Cheryl Harris 에 의한 백인 여성과 인종에 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슴에도 불구하고 예술 분야에는 이에 해당하는 주장이 존재 하지 않는 것은 좀 안타깝다.

문학 비평과 사회과학은 높은 기준을 가지고 백인성을 공포의 종류로 이야기 해 왔다. Ralph Ellison 과 James Baldwin 에서 부터 Leslie Marmon Silko, Paul Gilroy 와 Cherrie Moraga에 이르는 일련의 작가들은 백인성이 자신 자체를 유색인에게 대한 무자비한 폭력 – 채찍, Ku Klux Klan, 점령군, 흑인 처단군 [lynching party], 노예 초소 [slave patrol], 감옥 제도, “소수자” 동네와 인디언 지역에 버려지는 공업 독소등등 – 으로 그려냈다. 이들은 또한 백인 의식의 비틀어진 형성 과정에는 이러한 테러 행위를 보고 그리고 행하는 것이 아주 중요한 부분이었다는 것을 상기시켜준다. 흑인 처단군들은 현장에서 서로를 축하하고 점심을 먹고 가족 단체 기념 사진을 찍었다. 오늘날의 [미국] 테레비전 국가는 백인 경찰이 젊은 African-American 남자들을 때리는 장면들을 슬로 모션으로 끝없이 본다. 많은 African-American 들은 이러한 공격을 테러로 느끼고 자신의 아이들에게 운전 면허증을, 어떻게 꺼내야 혼수 또는 죽음에 이르지 않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가르친다. [번역 주: 주머니에 손 넣으면 안 된 다지요] 이런 주제가 등장하는 라디오 토크쇼에 전화하는 백인들은 이러한 폭력을 경찰관이 “피부색을 막론하고” 문제 있는 아이들을 다루는 과정에서 생기는 약간의 문제쯤으로 보는 대에는 참 재주가 뛰어나다.

하지만 어쩐 이유인지 백인의 테러는 전시회에 그리 크게 나오지 않았다. Andres Serrano의 Klansman 시리즈와 James Casebere의 섬짓한 작품들의 예외가 있었지만. Casebere는 백인적 공간들을 –그 중에는 유색인들이 묶여 있는 공간도 포함되어 있다- 모색하고 해체하며 의문을 제기하기 위하여 여러 대륙을 포괄한다. 그 만큼 시의 적절하게 백인성과 테러를 역사 및 초국가적으로 묘사한 작품도 없다. 이 전시회의 괘도를 통해 우리는 백인성을 해체하고 그 정체성에서 출발해 더 나은 무엇을 수면에 떠오르게 할 수 있다는 암시를 읽는다. 허나 Casebere의 유령 같은 그림들은, 그리고 그가 말하는 백인성과 테러의 상관관계, 그리고 소유와의 관계는 그와 같은 수면 부상이 궁극적으로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모색하게 될것인지에 대하여 따끔한 일침은 놓는다.

케이빈 벅, 무너진 계단, 2001, 고무와 나무, 바닥 설치물

Kavin Buck, Collapsed Staircase, 2001, rubber on wood, floor installation, 48 by 120 by 72 inches (photo by Antony Photography courtesy the artist and South La Brea Gallery, Inglewood, California).

우리가 들추고자 하는 백인성이 겨우 개인적인 문제 또는 몰이해 / 나쁜 습관 이라면 별 고민 없이 감성적인 만남을 추구하면 끝나는 문제라고 단정해 버렸을 것이다. 허나 백인성은 개발자, 상사, 공해자, 경찰, 노동 조합 지도자, 단체 리더 또는 선생들 사이에서 인식되고 지켜지는 인식적 틀 [category]로서 작용하기도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틀로써 백인성은 African-American 젊은이들이 백인 젊은이 보다 감옥에 갈 확률이 일곱 배나 높으면서 동시에 흑인 가족이 일 달러의 자산을 쥐고 있으면 백인 가족은 육 달러를 가지고 있는 구조를 지탱한다. 이러한 구조는 백인성 내부에서 나타나는 개인적 다름을 차단한다. 이 구조는, 인종적 차이의 이념을 강화하고, 백인성의 선호도를 높이며, 과학과 예술이 이러한 인종차별적 거짓들을 깔아 뭉개는 현실 속에서도 건재한다.

백인 우월주의 구조를 해체하는 것은 이러한 전시회 아래 모인 총체적 재능 그 자체로는 가능치 않다. 할수 있는 것은 관객에게 백인성의 역학과 “별다른 것으로 표시치 않은 경우 백인”인 사회에서 사는 부작용을 이해 할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백인성을 노출시키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그것을 초월하는 것. 어쩔 수 없이 캔버스, 예술관 또는 국가가 항상 백인 위주일 것이라는 패배주의를 경계하는 것. 이번 전시회의 작품들은 월스트립 저널 기자의 질문을 넓히며 어떻게 하면 비백인 공간들을 찾아내고 촉진할수 있을 까 하는 질문을 품는 쪽으로 우릴 밀어줄수가 있어요. 구조적인 불공정함이 항상 그런 공간을 없애버린다고 위협하는 상황에서도.

Notes
1. David R. Roediger, “White Looks and Limbaugh’s Laugh,” in Colored White: Transcending the Racial Past (University of California, 2002): 44–54. See also the important recent collection edited by Kymberly N. Pinder, Race-ing Art History: Critical Readings in Race and Art History (Routledge, 2002).
2. Amoja Three Rivers, Cultural Etiquette: A Guide for the Well-Intentioned (Market Wimmin, 1991): 8.
3. Cheryl Harris, “Whiteness as Property,” Harvard Law Review 106 (June 1993): 1709–91.
4. Edward Said in a question-and-answer session at Macalester College, Saint Paul in 1999.
5. See, for example, Rose Brewer, “Theorizing Race, Class and Gender,” in Theorizing Black Feminisms: The Visionary Pragmatism of Black Women, ed. Abena Busia and Stanlie James (Routledge, 1993): 16.
6. Susan Gubar, Racechanges: White Skin, Black Face in American Culture (Oxford University, 1997).
7. Boots Riley, “Everythang,” from The Coup’s CD Party Music (Tommy Boy, 2001).
8. Richard Dyer, White (Routledge, 1997): 75–76, speaks succinctly to the psychoanalytical literature.
9. Franklin Rosemont, “Notes on Surrealism as a Revolution against Whiteness,” Race Traitor 9 (summer 1998): 29.

데이빗 뢰디거 [DAVID ROEDIGER] 는 일리노이주 Urbana-Champaign 대학의 Babcock 역사 교수입니다. 최근 저서로는 “채색된 백인: 인종적 과거의 초월” 이 있음다. [Colored White: Transcending the Racial Past] (University of California, 2002). [주: 이 교수는 백인론을 학문으로 끌어올린 최초의 교수이기도 합니다]


게시됨

카테고리

, , ,

작성자

태그: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