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쥐 근성"이라는 용어의 기원은 주한 미사령관이었다는데

많이 궁금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약간 의외다.

…당시 일부 미국인들은 전두환만이 ‘대통령에 오를 혈통’을 지녔다고 공공연히 주장하였다. 그 대표적 인물은 위컴이다. 주한 미사령관 위컴은 “국민의 광범한 지지를 받고 한국의 안보가 유지된다면 이를 한국민의 뜻으로 받아들여 전 장군을 지지할 것”이라고 발언했다. 또한 그는 “한국민은 들쥐와 같은 민족이어서 누가 지도자가 되든 복종할 것이며, 한국민에게는 민주주의가 적합치 않다”는 망언도 서슴없이 한 사람이다. ([로스엔젤레스 타임즈], 1980.8.8) 12)
각주 12) 계속해서 8월 14일자 [뉴욕타임즈]는 “미국관리들은 한국 군부에 지지를 보내고 있음”을 보도했으며, 8월 17일자 [워싱턴포스트]는 “전두환 장군이 명실 공히 한국 정부를 장악하는 것에 대해 카터 행정부가 지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김광운. 1991 제5공화국 정권의 성격과 통제메커니즘. In 한국현대사 4: 1980년대 한국사회와 민족민주운동. 한국역사연구회 현대사연구반. 풀빛 23-60pp. 32p

난 또 무슨 유명 지식인이 들쥐 근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줄 알았다. 스펙타클의 사회라든가.. 그런 유행을 타기 쉬운 개념. 실제로 그렇게 많이 쓰인다. 위컴이 한 말을 보니 한인들을 레밍즈라 부르지 않았을까 짐작된다. (근데 나야 레밍즈를 플레이 해봤지만 그 당시는..?) 지 딴에는 하도 학생 시위가 많다 보더니 이골이 나서 신문에다 대고 화풀이라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문제는 저기서 사용될 때 대립 구도는 미제와 반제란 말이다. 바꾸어 말하면 친제 무리는 자신들이 들쥐라는 것을 받아들이면서까지도 미제의 앞장이 노릇을 하는 것의 대가에 맛을 들인 상태였는지도 모르겠다.
민주화 이후 본격적으로 갈려진, 자칭 개혁파라는 네티즌들이 저 용어를 남용하게 되면서 문제가 꼬이게 된다. 흔히 “냄비 근성”과 동의어로 많이 쓰이는데, 반대파를 “들쥐”라 부르는 이들은 독재후원미제의 언어 전통을 계승하게 된다.

고의로 욱하도록 쓰는 것일까? 어원을 모르고 그저 비난용으로 쓰는 것일까? 욱하도록, 선동용으로 쓴다면 원래는 지배체제의 도구이던 용어를 취하여 그 컨텍스트를 바꾸어서 재활용 하는 것일텐데, 과연 컨텍스트는 바뀌었을까?

일단 아니라고, 성찰 없이 쓰이고 있다고 본다.


게시됨

카테고리

,

작성자

태그:

댓글

“"들쥐 근성"이라는 용어의 기원은 주한 미사령관이었다는데”에 대한 3개의 응답

  1. 술이

    원문은 실제로 레밍즈 맞습니다. 위컴은 한국 언론들이 들쥐로 번역하는 바람에 오해가 생겼다고 투덜댔다던데, 뭐 그거나 그거나–;

    1. Eagle

      출퇴근시 전동차에서 빠른 출구로 가려고 몰려서 하차 하는거 보세요.결코 귀여운 레밍즈 아닙니다.들쥐 맞습니다.

      1. 7…7년 단위로 댓글 놀이를 하는 분들… -0-;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