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english

  • 지난 몇달간 발가락이 뻐근했는데 어쩌면 신발을 작은 것으로 신고 다녀서 …

    new shoes 지난 몇달간 발가락이 뻐근했는데 어쩌면 신발을 작은 것으로 신고 다녀서 그런 건지도 모르겠다. 10″를 신었는데 엄지가 끝에 닿지는 않지만 발가락을 펼쳤을 때 밑창이 같이 말려 올라가는 현상이 조금 있다. 그래서 11″ 를 찾아보았는데 없ㅋ엉ㅋ 대신 10.5″ 로 일단 사용해보기로. 이 모델은 예전 신발의 10.5″ 보다는 더 크고 그리고 결정적으로 디자인이 예쁘다. 우주 전함 야마토 갖잖아.. 실제로 신어보면 빨간색 밑창이 상당히 튀는 편. 이거랑 세트로 입을려고 까만 셔츠 주문.. 도착해서 입으면 본격 (무늬만) 아나르코신디칼리스트 간지가 구현되는 것인가 오오

    오른쪽은 옛 신발

  • 오늘의 한자

    오늘의 한자 Today’s chinese writing lesson!

    起承轉結
    기승전결

    시문(詩文)을 짓는 형식(形式)의 한 가지, 글의 첫머리를 기(起), 그 뜻을 이어받아 쓰는 것을 승(承), 뜻을 한번 부연시키는 것을 전(轉), 전체(全體)를 맺는 것을 결(結)이라 함 (네이버 횽아)

    One form of poetic structure where the text starts with a beginning, a continuation of its meaning, a variation of the meaning, and an end.


    일어날 기
    That which started everything!

    사태의 발단


    이을 승,
    구원할 증
    The natural continuation of the beginning

    그 뜻을 이어받아 확대 해 보니..


    구를 전
    The meaning of the beginning, in graphic form

    뜻을 한번 부연시켜 보았습니다


    맺을 결,
    상투 계
    The conclusion

    그리고 이어지는 눈물 없인 볼 수 없는 마무리 전개

  • señora ¿ha oído usted del sindicato de pasajeros…

    • señora ¿ha oído usted del sindicato de pasajeros? (pamphlet)
    • … pero esto está en inglés
    • al otro lado está en castellano.
    • where are you from?
    • we are from the bus riders union
    • no, i mean
    • oh i grew up in chile. Was born in korea
    • gee how do you guys speak spanish so well
    • i went to a spanish speaking school, so that’s huge
    • but still, i’m supposed to speak better because i look hispanic
    • oh no! don’t listen to those latinos who around saying “i speak spanish so i’m more latino” they don’t have any politics, and think that little language will define who they are! they don’t even know where they come from! these are the people who support prop 200; and not even realize the war on iraq is the war on the kids and their moms. what defines you is your common resistance to imperialist, gendered and class based forms of domination!
    • stuff in italics was added post-act for educational emphasis. 저게 대화 중에 자연스럽게 나올려면 순발력이 필요하고 그게 재능있는 조직가의 면모가 아닐까?
  • you don't need to speak it

    on juneteenth, after going to the iraqi oil union leaders speak out event, i was thinking of going to the seiu660’s juneteenth event, walking down wilshire. a black guy approaches me on a bike, by the sidewalk

    • 한국인이세요?
    • huh? how do you speak korean?
    • you can’t speak korean?
    • no, i just found it suspicious that you don’t look korean and yet speak it
    • 예, 저 한국 사람이에요.
    • … 혼혈이세요?

    인정 받고 싶다는 건가.

    while he was getting away

    • hey! you don’t need to speak the language to be korean.

    왠만하면 새겨들으시라.

  • Google Server 502 Error

    Google Error: 502 Server Error502 Server Error

    oh my google.

    I tried retrieving the HTML code of the error screen as a proof, but unfortunately FireFox seems to “reload” the page when I click on “View Page Source” and thus shows the normal page, not the error message I managed to capture.

    아주 짧은 찰나, 구글이 다운되었다. 증거로 에러 페이지의 HTML 코드를 추출하여 올려두려고 했지만, 불여우를 쓸 경우 “View Page Source”를 누르면 현재 보이는 페이지의 소스를 보이는 것이 아니라 다시 페이지를 검색하여 소스를 보이기 때문에 코드를 추출할 수가 없다.

  • what is hangukilbo's politics?

    P sent this:

    Korean community moved by black students learning Korean
    By Chung-eu Lee, Korea Times New York, 10 February 2005. Translated from Korean by Sun-yong Reinish.
    http://www.indypressny.org/article.php3?ArticleID=1926

    It’s easy to grab on the colonial intentions behind wishing other “minorities” to learn your language, in particular on the black/korean relations in the east coast. What are the politics of these people? What are they trying to achieve?

    Hangukilbo (Korean Times) does not seem to be affiliated with Chosunilbo, or Donga, or others in the peninsula. Who are these guys? Why do they have an article that talks about koreans benefitting from Bush’s TWP (wow! ‘임시고용허가’ 어찌되나), does the newspaper cater to undocumented, non-resident aliens as well?

    ‘리얼ID’ 반대 캠페인 http://www.koreatimes.com/articleview.asp?id=229619

    But then, I see this article, and I’m not so sure

    90% 투표율 못 올릴 이유 없다
    http://www.koreatimes.com/articleview.asp?id=229920

    ‘한인들은 반드시 투표한다’는 이미지만 심어진다면 우리는 차별을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4.29폭동이후 피해자인 한인상인들을 돕기보다 가해자인 흑인표밭 눈치보기에 급급했던 정치인들이 우리가 어려울 때 줄이어 찾아와 “무엇이 필요하냐”고 돕기를 자청할 것이다. (…) 이제 미국의 법은 소수계에도 시민의 권리를 공정하게 보장해 주고 있다. 그러나 이 권리란 행사하지 않으면 언제든 상실될 가능성이 있다. 법이 사람들 마음속에 깊이 뿌리내린 편견까지 없애주지는 않기 때문이다. 이런 편견에 대처할 수 있는 길은 정치적 힘을 기르는 것뿐이다.

  • 일은 누가 한다냐

    http://www.emusic.com/album/10729/10729166.html (더 보기…)

이 사이트는 wpml.org에 개발 사이트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remove this banner의 프로덕션 사이트 키로 전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