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methodology

  • 이른 가을

    표지 뒷면에 낙서가 너무 많아 너덜너덜해진 것을 크레용으로 싹 지우고 새 책인양.


    이 사진은 Hijiri ( http://photo.alfanet.jp ) 님께서 사용을 허가해 주셨습니다. 원 사진 링크는 여기.
    This photo is courtesy of Hijiri. Used with permission. (source)

  • 색인

    색인을 손봤습니다. 많이 많이 이뽀해 주세요.

  • 검색추가

    이 글로 엠파스에 검색 신청을 넣는다. 이것에 대한 링크는 개울님의 검색 거부 글을 보고 찾게 되었다. LikeJazz는 긴 꼬리찬양하고, 네이버 몇몇 블로거들은 펌글을 실시간으로 올려 방문객을 유도하는데, 정보 접근 원천차단을 원하는 이들이 속속 늘고 있다. 인간에 대한 성의가 없는, 지난 DaumRSS넷 논쟁상의 기술만능주의자들은 반성하라.

  • 표지 뒷면


    출처: elfintech, Weekend brunch licensed through Creative Commons BY-NC-SA

    방명록을 잠시 닫았다가 속표지 개념으로 다시 개장.

    속표지니까 이런 저런 설명이 필요하지.

    정보 공유 허가서: 예전에는 비상업용으로 (NC) 제한 했다가 이번에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로 (GNU FDL) 바꿈. 바뀐 점은 상업 용도도 가능하며, 다만 여기서 파생되는 모든 개작 및 복사본은 동일 허가서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를 강제적으로 따라야 한다는 점.

    출판은 미네소타 주 세인트 폴에서 되고 있음.

    답글란에 임베드 된 키위 그림 출처: Darren Hester, Khiwi. Licensed through Creative Commons BY-NC

  • 정보 공유 허가서

    영어 정보 공유 허가서: yokim.net/text/2/
    스페인어 정보 공유 허가서: 해당 링크 없음

    본 공간 yokim.net 내부에 존재하는 글에 대해서 다음의 두가지 규칙이 적용 된다. (여기서 “글”이란 모든 형태의 텍스트, 다시 말해 그림, 사진, 동영상, 소리 등의 매체를 이용한 정보 전달 수단을 의미한다)

    타인의 글

    작성된 글이 타인의 글일 경우 이는 scrapbook 로 분류된다. (예: clasificado bajo scrapbook, filed under: scrapbook, 해당 분류: scrapbook) 이는 내가 쓴 글이 아니며 신문이나 수업 등에서 받은 글을 추후 인용 및 검색을 목적으로 보관하는 것이다. 원 저자의 동의를 구하거나 구하지 않았을 수도 있으며, 이들 글은 미 저작권법 에 보호되며 공정 사용을 따라서 사용될 수 있다. 아래의 정보 공유 허가서는 이러한 글에 적용되지 않으며 저자의 동의를 얻으려 접촉을 시도하는 경우 이는 글을 사용하려는 이의 책임이다.

    자신의 글

    내 글을 사용할 때는 상업적 이용을 빼고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무분별한 펌질, 도용, 자유로운 편집/재배포를 환영한다. 출처 표기는 개인의 재량이며 사용 전/후 나에게 통고하는 것 또한 그러하다. 다만 무분별한 펌질 후 자신이 먼저 쓴 글이라며 시비를 거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다. 상업적 이용의 정확한 정의는 Creative Commons 의 정보 공유 허가서가 내리는 정의를 따른다.

    주의: “타인의 글”과 “자신의 글” 이 두 항목을 헷갈리지는 마시라.

    소비자 권장 인용 규격

    예전에 밝혔듯이 현재 IE 에서 작동하지 않지만 불여우에서는 작동하는 권장 인용 방식이 존재한다. 예전에 설명했듯이 글의 종류에 따라 표시 방식이 달라진다 (인류학 글일 경우 AAA, 철학 글일 경우 Chicago 등). 요구 사항은 아니지만 펌질하면서 표기 방식이 고민된다면 이용하시라.

  • 다른 구독용 주소

    EUC-KR http://yokim.net/text/index.xml

  • 한족어 방명록

    이메일: yokima@gmail.com

    오늘부로, 변덕에 걸맞게, 테터 방명록은 문을 닫습니다. 그렇다고 지우는 것은 아니구요, 답글, 새 글을 남길수 없도록 조치해 두었습니다. 옛 테터 방명록은 여기 yokim .net/tt/index.php?md=guest

    그리고 이제부터 방명록은 여기에 답글 형식으로 남겨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장식용 사진이 있습니다. 2003년 여름에 동네 곳곳을 저 두 깃발을 휘날리며, UN 이 사회주의적이라며 미국의 유엔 탈퇴를 촉구하던. 귀여운 아자씨 한 분.

  • 자퇴 않고 본학기 넘기면 겨울 방학동안 해야 할 일

    나중에 기숙사 떠나기 전에 인쇄해서 보관해야지.

    팬티 및 양말 추가 구입
    선인장 마무리
    미네소타 이민 노동자 자유의 캐러번 데이터베이스 및 웹 재 컨셉화
    라티노 학생단체 서버 이전 및 내용물을 구글 블로거와 근접 연동
    엄청 싼 비행기표를 거머쥐게 되는 날이 오면 (가끔 예약취소로 자리가 비잖아…) 아칸소로 튀기 불가능
    남아도는 티셔츠 처분 완료
    미몹에 열심히 글 쓰기
    남가주 한인 노동 상담소의 활동을 추적 및 연구 (겨울 학기 학업을 위한 준비작업)
    칠레 영주권 정확한 기한 확인 및 여행과 졸업 일정 짜맞추기
    OPT 신청하고 일자리 찾기.. SEIU가 젤 만만해 보인다
    상원의회의 비문서이민자녀고등교육개혁법을 위한 로비 동참 망하지는 않았단다.
    아델란테 아해들 중 겨울 학기를 이곳에 지내는 이들이 있을까? 있다면 기술/운동 교육 물건너 갔다
    미네소타 타 대학 학생 단체들 규모 및 연락망 파악 (CDL과 MNFR 둘 다 이게 절실하게 필요함..)

    근데 젤 중요한게 이번 학기를 무사히 (C 만 받아라.. C 만) 넘기는 것. 독어가 D 이고 인류학 과목들이 C +- 를 넘나들면 통과시켜주겠지? 대학 끝나면 목표가 없어서 그런 것 같은데.. 어쩌나.

  • 겨울 방학 되면 쓰고 싶은 글…

    겨울 방학이 2주면 다가오면서도 영원처럼 느껴지다니…

    번역하고픈 글:
    제니퍼 [로페즈]의 엉덩이
    Frances Negrón-Muntaner. Jennifer’s butt. Aztlan 22 (1997): 181-194

    누구의 스페인어이고 누구의 언어이며 누구의 권력인가? 차별된 이중언어에 대한 민족지적 질문
    Frances Aparicio, “Whose Spanish, Whose Language, Whose Power?: An Ethnographic Inquiry into Differential Bilingualism,” Indiana Journal of Hispanic Literatures

    엘비스는 그런 일을 처리하곤 있어: 치카노 대중 음악의 국제/내 영향 <– 상기 사진을 보시라
    Michelle Habell-Pallan. El Vez is "taking care of business": the inter/national appeal of chicano popular music. Cultural Studies 13(2) 1999, 195-210

    1921년 인디언 미인대회와 멕시코 국가문화의 민족화
    Rick A. López. “The India Bonita Contest of 1921 and the Ethnicization of Mexican National Culture”, Hispanic American Historical Review, no. 82, vol. 2 (2002): 291-328

    닥치게 하는 힘: 후기아파르타이드 남아공의 사회 지형
    Kate Crehan. Silencing Power: Mapping the Social Terrain in Post-Apartheid South Africa In Contested Terrains and Constructed Territories: Contemporary Africa in Focus. (2002) pp. 173-193.

    가나 관광사업
    Edward M. Bruner. (1996)Tourism in Ghana: The Representation of Slavery and the Return of the Black Diaspora. American Anthropologist 98(2): 290-304
    해석 같은 것 올리고 싶음..

    검은 소음: 현대 미국의 랩 음악과 흑인 문화
    Tricia Rose. Black Noise: Rap Music and Black Culture in Contemporary America (1994)
    쓰고 싶은 주제: 전략적 정체성, 언어 힘의 관계, 관계의 지리, 학생 운동 내의 인종역학, 기독교와 LGBT, 인류학 내부의 대 포모학파 암투, 이중언어와 젠더, 여성본질주의와 메일링 리스트, DW

    트랙백

    차이를 인정한다는 것
    http://www.mediamob.co.kr/zodiac/23822.html
    http://www.mediamob.co.kr/zodiac/post/tb.asp?PKId=23822

    수 이야기로 시작해 봅니다
    http://www.mediamob.co.kr/yoomyungah/22340.html
    http://www.mediamob.co.kr/yoomyungah/post/tb.asp?PKId=22340

    작게 꺼끌대는 뱃속의 알갱이
    http://www.mediamob.co.kr/cheezelol/9560.html
    http://www.mediamob.co.kr/cheezelol/post/tb.asp?PKId=9560

    공부
    http://www.mediamob.co.kr/cheezelol/19386.html
    http://www.mediamob.co.kr/cheezelol/post/tb.asp?PKId=19386

    이를테면 측정의 문제
    http://www.mediamob.co.kr/rockdipl/13419.html
    http://www.mediamob.co.kr/rockdipl/post/tb.asp?PKId=13419

    민족, 민족주의, 그리고 약자들의 이데올로기
    http://www.mediamob.co.kr/vedder/7289.html
    http://www.mediamob.co.kr/vedder/post/tb.asp?PKId=7289

    기업으로 간 인류학자 1
    http://blog.naver.com/cliffrunner/40007310550
    http://blog.naver.com/tb/cliffrunner/40007310550

    기업으로간 인류학자 2
    http://blog.naver.com/cliffrunner/40007310987
    http://blog.naver.com/tb/cliffrunner/40007310987

    기업으로 간 인류학자 3
    http://blog.naver.com/cliffrunner/40007311232
    http://blog.naver.com/tb/cliffrunner/40007311232

    우상화된 할리 데이비슨
    http://www.mediamob.co.kr/pickyouup/21611.html
    http://www.mediamob.co.kr/pickyouup/post/tb.asp?PKId=21611

    미국판 색깔논쟁 (?)
    http://www.mediamob.co.kr/dechang/27535.html
    http://www.mediamob.co.kr/dechang/post/tb.asp?PKId=27535

    사연의 정치, 서사의 복원
    http://www.mediamob.co.kr/vedder/15408.html
    http://www.mediamob.co.kr/vedder/post/tb.asp?PKId=15408

    기독교인과 수구성
    http://www.mediamob.co.kr/vedder/17885.html
    http://www.mediamob.co.kr/vedder/post/tb.asp?PKId=17885

    블로그 vs. 홈페이지
    http://www.mediamob.co.kr/vedder/7302.html
    http://www.mediamob.co.kr/vedder/post/tb.asp?PKId=7302

    개인주의 vs. 이기주의
    http://www.mediamob.co.kr/vedder/13723.html
    http://www.mediamob.co.kr/vedder/post/tb.asp?PKId=13723

    언제나 Insider같지만 늘 Outsider인…
    http://www.mediamob.co.kr/sirius7/27368.html
    http://www.mediamob.co.kr/sirius7/post/tb.asp?PKId=27368

이 사이트는 wpml.org에 개발 사이트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remove this banner의 프로덕션 사이트 키로 전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