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work

  • 직원 수련회 평가 시간에서 내년 이맘때면 이곳에 남아있지도…

    직원 수련회 평가 시간에서, 내년 이맘때면 이곳에 남아있지도 않을 내가 언어를 섞어쓰자느니 발제 내용을 좀 더 촛점을 맞추어서 공부하자느니등의 (무책임한) 의견을 내놓은 것은 확실히 실언이였다.

  • 요약하자면

    7월 부터 나는 Labor/Community Strategy Center라는 사회주의 연구소에서 자봉을 뛰고 있다. 시도때도 없이 엘에이로 떠나겠다고 말하자 거의 담당 교수가 되어버린 노조사 교수는 그래? 그럼 여기 지원해봐라 일자리가 있다고 하네.. 하며 연구소장의 연락처를 주었다. work-study를 같이 라티노이민노동자센터에서 하던 백인 동료가 여기 지원했다가 “우리는 PoC 를 찾고 있다”라는 답변을 들으며 떨어졌다고 한다. 그 친구는 지금 SEIU 에서 일하고 있으니 이게 어찌된 일인가.. 여하튼 그래서 거기에 지원하게 되었고, 연구소에서 강조하는 사상무장을 등한시하는 지원서를 쓰고 그에 상당하는 인터뷰 결과 떨어졌다. 그 후 계속 여기서 자봉을 뛰며 모택동도 읽고 레닌도 읽으며 많이 배우고 보고 있다.

    (더 보기…)

  • 민중을 파려느니 차라리 안기부 프락치 짓을 하련다

    나는 “민중을 팔아서 장사“하기로 작정한 사람이다.
    그러니까 단순하게, 심리이기주의적 관점으로 보자면, 끝까지 내가 하는 일이 정당하다고 우길 것이다. (밥줄이 끊기니까). 그런 허점은 기술 관료주의 진영도 피차일반이니 할 수 없다.

    1. 민중을 팔아도 돈이 안된다는거 직/간접적으로 알고 있다.

    2. 이미지 향상에도 도움이 안 된다. 게바라? 죽은 후에나 주가가 떴다. 모택동? 아옌데? 십년의 봄? 호치민? 말콤 X? 비코? 누가 이들을 존경하나? 자본을 통해 매체를 장악하지 않는 한, 대중은 자연스레 자본가 계급의 이익과 자신의 이익을 동일시 하게 된다.

    3. 돈 벌려면 역시 자본주의 제국주의 세력에 빌붙는게 최고이다. 공권력의 프락치 노릇 하거나 생산력 향상/엘리트의 “도덕적 책임”/반공 외치며 경영 계열에 매진하는 거지. julie님은 수치경제학의 관점에서 얘기하니 노선이 조금 다르지만 자본주의 체제의 심화가 “민중” (이라고 쓰고 노동계급이라고 읽어도 되겠지?)에게 이득이라는 주장을 한다는 점에서 결국 적진이다.

    .: 민중을 판다니, 난감하다. 누가 나 좀 팔아서 순이익의 0.1%만 내게 뚝 떼주었으면 좋겠다. -_-

    RE: 공공선택학파라고?

    양심 없는 경제학자들과 도매급으로 넘겨져서 억울한가? 집안 정리부터 하라. 9월 소비에트의 핵심 목표도 멘셰비키 척결이었다.

    ====

    이것은 선동전이다. 목표는 julie 라는 개인이 아니라 미몹이라는 인프라를 통해 생성되는 독자층, 그리고 julie 의 글을 읽는 특정 세그멘트에 대한 설득+존재감 표시이다. 미몹은 선동전에 적합한 정보 교통 구조를 갖추고 있을까?

  • tono formal y 어투

    No sé por qué, pero el texto que sigue a continuación del esquema sólo no se ve correctamente en IE. (al parecer el primer párrafo desaparece tras la imagen)
    이유는 파악이 안 되고 있지만 차트 다음에 나오는 글은 IE 에서 올바르게 표시가 안 됨. (첫 문단이 이미지 뒤로 밀쳐나는 듯)

    En KIWA sacaron un informe blanco (“white paper”) para poner presión en los medios para su Campaña por Salarios Justos, cuya traducción me encargaron como mi primer tarea de voluntario. Al comienzo de la traducción al coreano, tuvimos unos minutos de miscomunicación sobre el uso del tono para el coreano. El coreano no se puede conjugar pasivamente, por lo cual se debe decidir básicamente entre el -하다 (el formal e irrespetuoso) y el -합니다 (el informal y respetuoso) – hay más tonos, pero estos dos son los básicos. Yo estaba pensado más por el lado de si el tono debiese ser respetuoso o irrespetuoso, por lo cual mi debate estaba por el axis verde-amarillo, y pensé que un informe blanco debiera tener un tono respetuoso, por ende mi opción por la -합니다. Pero al mismo tiempo había visto que informes y publicaciones nunca tenían el tono de -합니다 sino -하다 porque ese era el uso común.

    Pero mis supervisores estaban más preocupados de si el tono era formal o informal, porque el informe tenía un tono oficialista, aunque a la vez no tan sólido como un informe blanco, pero al medio como fuente para medios de comunicación. Cuando les expliqué la clase de coyuntura en que estaba, les dije que -하다 era como el tú, mientras que la -합니다 era como el usted. (Esto es, siguiendo la axis verde-amarillo) Y ahí a ellos se les encendió el semáforo rojo porque estaban conscientes que “tú” era informal, mientras querían un tono formal (“usted”, la cual según mi analogía de respetuoso-irrespetuoso, debiera ser -합니다) Me dijeron que querían el que sonaba como “usted”, o sea -합니다.

    En esa discusión nos pasamos varios minutos, porque yo mismo estaba confundido sobre por qué la percepción del tú y el 하다. Al fin me di cuenta que estábamos interpretando la significancia del tú con diferentes estándares (ellos buscando el axis rojo-azul, mientras yo estaba enfocado en el amarillo-verde) Y aunque ellos no quedaron muy convencidos, les expliqué que aunque -하다 era irrespetuoso, a la vez era el tono “formal” que ellos buscaban.

    KIWA의 생활임금 켐페인 백서를 자봉 첫 일거리로 번역했다. 이것을 이용하여 매체들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여 마켓 소유주에게 대한 압력을 계속 넣으려는 것이 아닌가 싶다. 한족어로 번역할 때 담당자들과 약간의 이견이 있었는데 한족어는 원문 영어나 까스떼야노와는 다르게 동사가 passive 형태를 못 지닌다. (할 수 있긴 한데 어색해서..) 그래서 어투를 가지게 되는데 기본적으로 -하다 와 -합니다, 이렇게 두 가지 어투를 주로 쓴다. 내가 알기로 -하다 는 경어이면서도 공식문서/논문/신문에서 두루 쓰이고 -합니다 는 존칭어투이면서 조금 더 느슨한 텍스트, 이를 테면 상업적 광고등에 쓰인다. 백서를 번역하며 어투를 고를때 이러한 경칭/존칭의 (초록노랑) 관계를 중점적으로 고려하고 있었다. 그러한 관점에서 볼 때 -합니다 가 존칭임으로 이것을 써야 한다고 생각했으나, 아무래도 이것은 광고지 보다는 신문 심층 기사에 더 가까움으로 -하다 널리 쓰이는 -하다 어투를 써야 한다고 생각했다.

    담당자를 불러서 물어보기로 했다. 담당자는 동남아계-아메리칸이었음으로 이해하기 쉽게 -하다 투가 “tú” (너) 이고 -합니다 투가 “usted” (당신) 이라고 비교해서 설명 해주었다. 하지만 담당자들은 이 문서를 공식적인 어투로 번역하는 것에 더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다. (빨강파랑) 그렇기 때문에 비공식적인, 또는 캐쥬얼한 (informal 이라는 단어 자체가 약간 중의적이다) “tú” 의 사용을 경계하고 공식적인 “usted”에 해당하는 “합니다”를 사용하라고 충고해주었다.

    몇분 동안 문제에 대해서 같이 생각해 본 후 내가 “tú/usted”라는 비교 대상을 제안할 때 그 어투가 지니는 의미에 대해 헷갈렸다는 것을 깨달았다. 나는 경칭존칭의 대립에 중점을 두고 있었지만 그들은 공식비공식의 대립에 중점을 두고 있었고, 카스떼야노에서 경칭존칭과 공식비공식은 (어느 정도 선 까지는) 서로 평행을 달리지만 한족어에서는 서로 교차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런데 이게 맞는지 모르겠다. 경칭이 공식적인 어투라니? 혹시 기존 집권 세력이 싸가지가 없게 굴어서 그렇게 되어버린것 아닌지 모르겠네.

  • 보호된 글: SL 교회 초등부 2006년 예산, 교사 모임

    이 콘텐츠는 비밀번호로 보호되어 있습니다. 이 콘텐츠를 보려면 아래에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 남조선 교회 신학 조류 알파

    강근환 교수의 “한국교회 신학의 흐름과 전망“의 개념도. 이걸 어떻게 보완하느냐가 골치이긴 하지만

  • 번역. 험한 급류에 올라탄 시장: 안또니오, 자발적으로 교통국의 문제석을 취하다

    Los Angeles Daily News. 2005년 7월 17일
    Mayor steers tough course: Antonio willingly in MTA hot seat – korean translation
    by Lisa Mascaro, (818) 713-3761 lisa.mascaro@dailynews.com

    엘에이 교통국 이사회의 기수를 맡은 안또니오 비야라이고사 시장은 최근 대담한 계획을 선보이고 있다. 그는 지하철을 (두번이나) 탔으며 교통 혼잡을 줄이기 위한 자금을 조성하려 수도 워싱턴발 여행을 준비 중에 있다.

    신임 시장은 만성 교통 정체에 시달려온 로스 엔젤레스 시의 교통 제도에 의외적인 관심을 쏟고 있다. 교통국 대변인 중 하나는 이러한 관심이 가끔 뒷켠으로 밀려나곤 하는 교통국에 “활력소 효과”를 가져온다고 이야기 한다.

    바다로 연결되는 지하철을 건설하고자 하는 비야라이고사는 그러나 수 많은 도전을 직면하고 있는 (연간 28억 달러의 예산에도 불구하고 재정 부족에 시달리고, 금년 가을에 버스 승객 조합과의 법적 마찰을 앞두고 있으며 또한 지난 지하철 건설시 행정 착오로 인한 채무를 여태껏 지불 중에 있는) 교통국을 수습해야 한다.

    (더 보기…)

  • 중도?

    친구는 켐페인 연구로 가지 않고 연방 노동부 임금 및 노동시간 부처에 감시관으로 간다고 한다. 암말도 않았는데, 국가권력에 빌붙는다는 비난을 느꼈는지 그 사람들도 급진적인 이민정책 생각을 같고 있다고 둘러덴다. (열린 국경 정책을 지지한단다, 케켁) 근데 엔트리 레벨이면 수급도 비슷한텐데 왜 그리 갔을까? 노동 환경이 더 좋은건가.

    이 아해랑 나랑 노조학생협력연맹에 대해 가지고 있던 불만이 비슷하게 일치한다. 일을 너무 날림으로 한다는 거야. 아무리 조직이 위계를 만든다고 해도, 최소한의 효율은 가져야지. 한쪽에서는 사람이 죽어나가고 있는데 우리끼리 탈권위체제를 만든다며 덜렁 덜렁 진행해도 되는 거야?

    같이 사는 여자친구 가족은, 전형적인 교외에 살며, 이슈에 대한 입장만 있지 뭐가 뭔지도 잘 헷갈리는(듯한) 백인 민주당 지지 가족이다. 전기 하이브리드 차를 몰며, 채식에 유기농 음식에까지.

    물든건가, 원래 이랬던가.

  • 위키, 첫 인상

    광란의 삼일, 이런 저런 정리.

    1. 코딱지만한, 멤버가 20명 남짓한 학생단체를 위해 위키를 돌려야 하나.
    2. 기껏 설치해놓고, 광고 wiki.adelantemac.org 까지 해놓고선 막상 위키 제품군을 훠이 둘러보니 미디어위키는 제일 안 좋은 선택이였던 것 같다. 지식구축 데이터베이스가 목적이 아닌데.. 엉뚱하게도 이벤트 뭐 이런게 있는 것을 보고선 홀려서 사용. 그러고 보니 티키위키 tikiwiki.org 가 좋을 것 같은데. orz
    3. 블로그는 잠깐 잠깐 글을 휘적휘적 써 올리는 것에는 참 좋지만 아무래도 숙제를 하는것에는 적합지 않다. 혹시라도 내 rSS 에 구독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최근 이틀동안 업뎃은 열번이나 하면서 똑같은 글이 올라오고 또 올라오고 하는 것에 질렸을 것이다. 걍 인쇄한다는 것이 draft 모드에서는 인쇄가 안되길래 -.-
    4. mediawiki. 다 좋은데 줄바꿈이 치명적이다. 으으. 저거 어떻게 해결할까. 지난번 보았을때에는 문학 사이트들이 코드를 꺾었다던데. 지금 쓰는 블로그 프랫폼처럼 줄바꿈이 BR로 처리 되지 않고 그냥 HTML 식으로, 빈 칸으로 처리된다. 그래서 줄이 다 들러붙게 된다. 누가 위키피디어 가지고 코딩하는 것도 아니고, 줄바꿈은 당연히 BR 가 되는게 아닌가;;
  • 후원재단 추천이 들어왔다..

    12월 내내 바빠서 일하러도 못 가고, 이멜도 체크 하지 않다 보니 지난 14일 들어온 중요이멜을 하나 놓쳤다.

    새로운 목소리” 후원재단 프로그램에 자기네 단체가 지원을 하려는데 누군가가 날 추천했단다. 누가 했겠나, 이민노동자권리부 감독이겠지..

    비정부단체들에게 새 목소리를 넣어준다고 설립된 재단인데 매년 전국에서 열다섯명의 사람을 뽑아서 이년동안 그 단체에서 일하도록 후원해준단다. 근데 평균금액이 무려 삼만오천이다. 지금 SEIU 노조 일선으로 들어가려고 열심히 알아보고 있는데 노조 쪽은 아마 연봉이 이만을 못 넘을게다. 우리 감독이 이만오천가량. 돈 걱정이랑 하지말구 무슨 프로젝트를 하던지 이년동안 뽕빨내라는 소리다.

    울 단체는 재작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공정무역에 대해서 교육하고 조직/로비/운동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부서 담당자의 Americorps 후원이 끊기면서 아예 그 자리를 없앴다. 그걸 다시 살리려는 생각이란다.

    요즘 사람이 없나봐? 나 같은 놈도 추천되고.

    이 단체서, 특별히 한 것 없다. 난 경력을 넓히러 첨에는 자원봉사 글고 후에는 인턴으로 온 것이고 , 하다보니 좋아서 계속 눌러앉아있게 된것이다. 컴퓨터를 잘 만지다보니 전산화 데이터베이스 구축 웹사이트 까지 다 도맡아서 하며 사람이 모자라니 출판물 편집에다 기고도 했다. 하지만 젤 중요한 일선 운동이랑 노동자 상담 그리고 타 단체 연대는, 뭐랄까, 카리스마가 부족하다. 리더십이 없어.

    난 운동가가 아니라 기술자 체질이란 말이다

    다른 좋은 사람을 찾아내서 원서넣으시기 바란다. 안 그래도 인원감축하면서 김이 빠지는 요즘, 이런 거라도 없으면 진짜 망하게 생겼다.

    그럼에도, 저거 보면서 본전 생각이 났다. 나도 졸업하고 돈을 벌어야지..

    “네, 관심 있어요. 🙂 여기 이력서 첨부했슴다”

    보내니 지금 연말휴가라고 자동답멜이 왔다. 넘 늦었는지도 모르겠다. 근데 결정적으로, 인터뷰할 자신이 없다. 꼭 이런 것에 맞는 아해를 찾으시라.. 딴데서.

    나같은 사람에게 투자 하지 마시라. 제발
    우울하다..
    다 부씨 잘못이야..

이 사이트는 wpml.org에 개발 사이트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remove this banner의 프로덕션 사이트 키로 전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