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

  • 지대넓얕 장자의 철학 일부러라는 느낌이 들 정도로 사람들이…

    지대넓얕 – 장자의 철학

    일부러라는 느낌이 들 정도로 사람들이 헤메는데, 사실 곤붕의 예나 537 밑에 0이 있으니까 유 밑에 무가 있다라는 라는 얘시는 직관적으로 느껴진다. 장자의 이름은 들어보았어도 그의 철학 내용은 처음 접하는데, 곤붕 얘기는 장자가 사람들과 철학얘기를 하면서 사람들이 자기의 경험에 병적일 정도로 매달려서 사고의 점프를 시도조차 하질 않으니 장자가 일종의 정신 훈련 삼아서 들려준 이야기가 아닌가. 인터넷에 사람들이 토론하다가 누군가가 다른 사람들이 생각조차 하지 않은 면모를 지적하면 사람들의 반응 중 하나가 “woah.. mind. blown” 인데 바로 이 효과를 노렸던 것이다. 이걸 통해서 “내가 생각조차 못했던 이론/프레임이 존재 할 수 있고 그런 것 중에 하나가 이제 바로 장자가 곤붕 이야기 이후 들려줄 이야기이다” 라는 점을 전달하려는 것이라는 것. 그런데 왜 뜬금없이 태평양만한 새인가? 새라던가, 태평양 만하던가는 중요하지 않다. 그것을 상상함으로서 멘탈을 산산조각 내주는 것이 목적이니까..

    숫자 537이 500+30+7인데 0이 들어가니까 무가 있다는 소리는 일단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양자역학과 상대주의를 남용하는 것과 유사점이 보인다. 만일 이 예시에 아라비안 숫자가 사용되고 있었다면, 이때 당시에 아라비안 숫자는 (이 시대에 아라비안 숫자가 있기는 했는가?) 당시 기준으로 최첨단 이론에 해당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장자는 그 최첨단 이론의 이미지에서 자신의 철학을 설파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비유를 찾아내었다. 그리고 그걸 사용했다. 오늘의 기준으로 보면 500에 “0” 이 들어간다는 순수히 syntax 적인 사실에 무슨 철학적 의미를 부여한다는게 좀 도를 믿습니까 류 같아보이지만 당시에는 아라비안 숫자 자체가 생소한 새 이론이었고 그 체계에 내포된 일반인의 당시 상식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여러가지 전제 조건이 당대 철학자들의 이론 욕구를 자극한게 아닐까.. 20세기 후반에 양자역학이나 상대성이론을 접하긴 헀지만 완전히 이해를 하진 못한 철학자나 사회학자들이 그러했듯이.

  • 파라아디스 조선 정치옹알이 김민하 기자 외 2인이 진행하는…

    파라아디스 조선 정치옹알이

    김민하 기자 외 2인이 진행하는 새 팟캐스트를 듣기 시작했는데 며칠 전 쓰레기를 들어놔서 귓속이 정화되는 느낌이다.. 재밌는 점은 야채라디오에서는 큰스승이 공(攻) 츳코미, 김변태가 수(守) 보케라는 느낌이었는데 여기서는 큰스승이 계속 공이지만 보케 역할로 바뀌고 거.. CBS 기자? 가 수 츳코미라는 간지데스. 가끔씩 CBS기자가 본론으로 다시 주제를 가져오고 있을 때 큰스승이 혼자서 조그맣게 자기 하고 싶은 말을 주절거리는게 스루스루만 느낌도 난다.

    이 방송의 하이라이트는 세 진행자가 서로 타령이 업 되기 시작하면서 세명이 각자 자기가 하고 있던 말을 동시에 계속하는건데, 각자가 진행하는 주제가 있고 말이 엄청 빠르고 점점 더 목소리가 커지면서 서로간의 말도 조금 듣고 웃음이 터지고 하는 무아지경의 상태가 30초 가까이 진행되는데 잘 듣고 있으면 동시에 터져나오는 2-3개의 개그를 한꺼번에 따라가면서 소화 할 수가 있다. 이 때가 제일 재밌음.

    그리고 팟캐스트 소개 멘트에서 “우리는 이민자”라고 해서 깜짝 놀랐음. 헬조선에서 탈출해서 파라다이스 조선이라는 무의식의 나라를 향해 가는 이민자래요..

  • 30회 미스테리 경제쇼 복면 삥땅왕을 찾아라 가없껄 30회…

    30회 – 미스테리 경제쇼 복면 삥땅왕을 찾아라

    가없껄 30회 1시간 10분 경에 사기 유형 중에 “전직 정치인의 수억원 규모 비리금을 내가 맡아서 보관하고 있는데 열람 수수료 오백만원을 내면 이 돈에서 절반을 주겠다”라는 류의 사기가 있다고 한다. 그런데 이거! 이거 나이지리안 왕자 류 사기 잖아!

    이 사기에 당하는 사람들이 꽤 있는데 대부분 “아니 전 정치인이면 당연히 수억원 규모의 비자금을 가지고 있지”라는 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잘 말려든다고 한다. 그러니까 부정부패가 어느 급이 되는 나라에서 이런 사기가 더 잘 먹히거라는 얘기잖아.. 그러니까 남한 정부 부정부패 수준이 나이지리아 정도는 된다는 얘기 아닌가? 대다나다 대한민국..

  • http ytnradio us m news read asp seq=36377.9999

    가끔씩 상담을 하게 될 때 답답한 것이 피해자의 앞뒤 없이 패해당한 것과 억울하다는 것만 반복하는 서술 스타일이다. 어디서 뭘 누구에게 어떤 맥락에서 당했는지는 빠지고 “그 사람 나쁘다”와 “억울해서 피가 솟구친다”만이 남게 된다. 상담 할 때 어떤 법을 어겼는지, 어떤 전문가가 필요한지 파악해서 안내를 해줘야 하는데 이러면 간단한 수도 있는 리퍼럴 제공하는것에 시간이 많이 들어가게 된다. 특히 사실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중립적인 입장에서 몇가지 질문만 해도 팍 반응하며 “내가 억울해죽겠는데 뭘 의심하고 들어!”라는 반응을 보이면 이 사람은 상담이 필요한게 아니고 그저 위로 해줄 친구가 없어서 온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게 된다. 그러니까 상담해주는 사람은 무조건 내 편이어야 되고 만에 하나 아니라는 기미가 보이면 다시 감정 곰격을 통해 나의 억울함을 어필하는 거다.

    물론 아주 억울한 일을 당하면 화가 나서 정신이 없고 억울하다는 것밖에 생각 안 날수도 있다. 그렇지만 집에서 혼자 우는 것이 아니라 상담을 하러 왔으면 상담을 해야 할 것이 아닌가? 내가 당신 엄마라면 또 모르겠지만.. 아니 사싫 내가 엄마라도 가해자가 내 앞에서 있고 다시(계속) 피해자를 때리려고 하거나 그런 상황이 아니라면 일단 사실관계부터 들어봤으면 좋겠다.

    인간의 본성이 원래 그런건가 하고 있었는 데 이 기사를 보고 새로운 생각이 들었다:

    (제목) 린다 김 폭행 어쩌고
    http://ytnradio.us/m/news-read.asp?seq=36377.9999

    린다 김이라는 돈많고 힘있을 것 같은 사람이 5천 달러를 빌렸는데 채무 만기가 되어 돈을 돌려달라는 사람에게 돈은 돌려주지 않고 욕을 하고 뺨을 때리고 무릎을 꿇혔다는 기사다. 이 기사를 읽으면 “돈 많은 것들이 꼬라지는..”라는 생각도 들지만 일단 사실관계가 궁금하지 않을수가 없다. 엄청난 갑부라는 사람이 왜 고작 오천 달러를 빌리지? 은행 대출 같은거는 못 받는 건가? 갚을 생각도 없으면서 채권자는 왜 만난거지? 백보 양보해서 이 사람이 뭔가 미친 거라서 채권자를 만나서 뺨을 때리고 욕을 했다고 치자. 채권자가 남자인것 같은데 무릎은 어떻게 꿇린거지? 무릎을 꿇는 신체적 동작은 나보다 힘센 사람이 힘으로 어떻게 한다고 해서 가능한게 아니다. 내가 자발적으로 꿇ㄹ어야 한다. 그 과정에 위협 등이 들어갈 수는 있겠다. 어쩄든 내가 무릎을 꿇어야 한다. 그런데 어떻게 무릎을 꿇린거지? 채권자의 약점이라도 잡았나? 깡패들을 동원했나? 의문 투성이일 수 밖에 없다.

    근데 기자들은 별 의문도 없이 이런 사실들을 그냥 쓰기만 하고 있다. 분명 사실관계가 요약될 것일텐데, 요약을 이따위로 밖에 못하나? 나머지 관계들을 어떻게 독자가 알아서 연결하라고..

    이 기사에는 “린다 김이 나쁜 놈이고 채권자는 억울하다”라는 서술밖에 없다. 그게 피해자의 증언 내용 전부라고 하더라도 언론에서는 좀 말이 되게 조사를 하고 밝혀봐야 하는게 아닐까?

    혹시 이런 무책임한 보도 행위가 사람들에게 잘못된 습관을 들여놓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들이 맨날 이런 기사만 보니까 “나도 내가 억울함을 주장하려면 이렇게 즉흥적인 감정에 호소해야 한다”라고 생각하게 된 거 아닐까?

이 사이트는 wpml.org에 개발 사이트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remove this banner의 프로덕션 사이트 키로 전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