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우리말권 사이트 중에서 정보공유연대 IPLeft, Creative Commons 또는 GFDL 라이센스를 채택하는 사이트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런데 반자본 사상을 가진 이들이 운영하는 사이트를 보면 하나같이 BY-NC (저작자표시-영리불허)로 내놓고 있다.
사람들아. 영리라고 해서 친자본주의고 비영리라고 해서 반자본주의가 아니다.
GPL은 영리를 허용한다. 인텔리 냄새가 폴폴 나긴 해도 어쨌든 이걸 만든 백인 아해들은 리눅스를 팔아먹어서 돈을 벌 생각으로 영리 허용을 같다 붙인 것이 아니였다. 영리를 허용하는 이면에는 궁극적으로 저작물 시장에서 자본주의 체제를 붕괴시키려는 의도가 있다. GPL/GFDL 은 기본적으로 BY-SA (원저작자표시-동일라이센스허용)와 동급인데, 이렇게 될 경우 영리허용과 동일라이센스 허용이라는 양날을 동시에 지니게 된다. 재작년경에 정보공유연대와 Creative Commons 비교 때 이야기가 나왔듯이 영리허용은 실제 동일라이센스유지라는 핵폭탄을 기존의 상업 저작물 시장에 침투시키려는 도구에 지나지 않는다. 그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1. 갑이 (GFDL 라이센스를 따르는) 위키백과에 글을 많이 많이 투고한다.
2. 동아일보가 위키백과를 마우스로 주욱 긁어서 10만원에 출판을 한다.
3. 그런데 위키백과를 복제하려면 GFDL 을 따라야 한다. GFDL 은 위키백과에 접근할수 있는 경로 (URL등)와 GFDL 문서 전문을 첨부하고 복제물 또한 GFDL로 내놓으라고 명시하고 있다.
4. 서점에서 을이 동아일보판 위키백과를 구입했다.
5. 을이 10만원짜리 1500쪽 3권 전집 동아일보판 위키백과를 대학 복사실로 가져가서 복사를 한다. -_- 그리고 대학로에서 마구 뿌린다.
6. GFDL 만 준수하면 을이 한 행위는 법적으로 보호를 받는다. 왜? GFDL을 준수하고 있으니까.
7. 동아일보판 위키백과 판매고는 급락하고 동아일보 편집팀은 괜히 남 좋은 일만 시켜준 셈이 된다. 또는 동아일보판 위키백과가 시장 하한 가격선으로 (종이값 4천원) 곤두박질친다.
이래서 BY-SA 를 쓰는 거다. 무작정 반기업 “정서”때문에 비영리 조건을 다는 사람들아.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