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Yongho Kim 김용호

  • 영리 허가 라이센스

    요즘 우리말권 사이트 중에서 정보공유연대 IPLeft, Creative Commons 또는 GFDL 라이센스를 채택하는 사이트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런데 반자본 사상을 가진 이들이 운영하는 사이트를 보면 하나같이 BY-NC (저작자표시-영리불허)로 내놓고 있다.

    사람들아. 영리라고 해서 친자본주의고 비영리라고 해서 반자본주의가 아니다.

    GPL은 영리를 허용한다. 인텔리 냄새가 폴폴 나긴 해도 어쨌든 이걸 만든 백인 아해들은 리눅스를 팔아먹어서 돈을 벌 생각으로 영리 허용을 같다 붙인 것이 아니였다. 영리를 허용하는 이면에는 궁극적으로 저작물 시장에서 자본주의 체제를 붕괴시키려는 의도가 있다. GPL/GFDL 은 기본적으로 BY-SA (원저작자표시-동일라이센스허용)와 동급인데, 이렇게 될 경우 영리허용과 동일라이센스 허용이라는 양날을 동시에 지니게 된다. 재작년경에 정보공유연대와 Creative Commons 비교 때 이야기가 나왔듯이 영리허용은 실제 동일라이센스유지라는 핵폭탄을 기존의 상업 저작물 시장에 침투시키려는 도구에 지나지 않는다. 그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1. 갑이 (GFDL 라이센스를 따르는) 위키백과에 글을 많이 많이 투고한다.
    2. 동아일보가 위키백과를 마우스로 주욱 긁어서 10만원에 출판을 한다.
    3. 그런데 위키백과를 복제하려면 GFDL 을 따라야 한다. GFDL 은 위키백과에 접근할수 있는 경로 (URL등)와 GFDL 문서 전문을 첨부하고 복제물 또한 GFDL로 내놓으라고 명시하고 있다.
    4. 서점에서 을이 동아일보판 위키백과를 구입했다.
    5. 을이 10만원짜리 1500쪽 3권 전집 동아일보판 위키백과를 대학 복사실로 가져가서 복사를 한다. -_- 그리고 대학로에서 마구 뿌린다.
    6. GFDL 만 준수하면 을이 한 행위는 법적으로 보호를 받는다. 왜? GFDL을 준수하고 있으니까.
    7. 동아일보판 위키백과 판매고는 급락하고 동아일보 편집팀은 괜히 남 좋은 일만 시켜준 셈이 된다. 또는 동아일보판 위키백과가 시장 하한 가격선으로 (종이값 4천원) 곤두박질친다.

    이래서 BY-SA 를 쓰는 거다. 무작정 반기업 “정서”때문에 비영리 조건을 다는 사람들아.

  • 듣자하니 La Raza 97.9 의 Cucuy 토크쇼는 언어를…

    듣자하니 La Raza 97.9Cucuy 토크쇼는 언어를 막론하고 LA 지역에서 최상의 청취율을 달리는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D/UF 가 힘 좀 쓴것인가.. 그런데 Cucuy 가 라디오에서는 Howard Stern 에 비교되는 캐랙터라고 한다. 그러니까 토크쇼 중간 중간에 나오던, 심히 거슬리던, 중국인에 대한 이야기들은 의식적으로 집어넣은 거란 말이냐. 착각했네.

  • 이민 개혁에 끼얹혀진 찬물

    “안녕하십니까. 와빠르다 택시 회사입니다. 성함이 어떻게 되시나요?”
    “김용호.”
    “우편 번호?”
    “90006.”
    “여권 좀 보여주십시오.”
    “손님, 이 여권에 인쇄되어 있는 비자가 유효한지 검토하기 위하여 잠시 이민국에 조회를 하겠습니다. 잠시 기다려주십시오.”

    직원이 말하는 “잠시”가 3분이 될런지, 아니면 경찰을 부르는 것 까지 포함해서 20분이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작년 12월 17일 미국 하원 의회에서 통과된 H.R. 4377 (센센브레너 법안이라고도 알려진) 법안에 따르면 전국의 모든 개인과 단체들은 서류 미비 이민자와 일체의 접촉을 중단해야 하며, 이를 어길시 형사법으로 처리되게 된다. 이민 사회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수많은 비즈니스, 교회, 커뮤니티 단체들은 즉각 어려운 결정을 내려야 한다. 법을 무시하고 일을 하다가 처벌을 받을 것인가, 아니면 모든 사람에게 이민 서류 제시를 요구할 것인가?

    작년을 기하여 전국적으로 이민 개혁의 기운이 무르익고 있다. 하원과 상원 양방에서 수 많은 이민 법안들이 발의∙토론되고 있으며 시민들은 이를 경청하기도 하며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기도 한다. 1965년 이민법 대 개혁이 있은 후 지금이야 말로 낡은 법을 갱신하고 경제의 피와 살이 되는 이민을 활성화하기 위한 적시라고 사람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그 러나 정계는 이민 사회에 호의적이지만은 않다. 발의되는 법안 중 많은 수가 이민 절차를 더욱 까다롭게 만들며 이민자들에게 적대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그 중 반 이민 정서의 최전선을 표방하는 것이 H.R.4377 이며, 하원에서 민주당∙공화당의 암묵적 동조 아래 속결 통과되었다. 우리 사회를 갈갈이 찢어놓고, 이민자를 범죄자로 내몰 것이며, 가족원들을 떼어놓을 이민 악법이 통과되었다. 이민 개혁을 기원하는 전국적 분위기에 느닷없이 끼얹혀진 찬물인 것이다.

    현 재 상원 의회의 (Judiciary Commitee)는 이민 개혁을 토론 중에 있으며 H.R. 4377 을 일부 수용할 것이라는 우려도 현실화 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의회는 봄철 의회 세션이 끝나기 전 이민 개혁을 처리하기 위하여 위원장 스펙터 (R-PA) 의원에게 3월 27일부로 최종 법안을 제출하라고 압력을 가하고 있는 중이다.

    국 민은 공정한 이민 개혁을 원하며 국회의원들이 이를 속히 실현화 해달라고 촉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동시에, 전국적으로 수백개의 커뮤니티 단체들과 종교 단체 및 노동 조합들은 H.R. 4377 이민 악법의 통과를 개탄하고 이민자 사면 등 공정 이민 개혁을 요구하는 대규모 집회를 벌이고 있다. 이미 시카고와 워싱턴 DC에서 50만명이 모인바 있다. 로스 엔젤레스 다운타운에서는 다음 주 3월 25일 (토요일) 아침 10시와 3월 26일 (일요일) 오후 1시, 행진과 집회를 가질 예정이다.

    슈퍼마켓에서 물건을 사기 위하여, 교회에서 예배를 드리기 위하여, 커뮤니티 단체에서 도움을 받기 위하여, 매번 신분 증명 문서도 제출하고 엄지 손가락 도장, 눈동자 사진도 찍어야 할 것인가?

    그럼, 행진 장소에서 만나자. 자유를 위하여, 우리 사회의 번영을 위하여, 그리고 택시를 타기 위하여.

    (실리지 않은 기고문)

  • 덩 덩 쿵딱쿵 덩 딱딱 쿵딱쿵 덩 쿵딱…

    덩- 덩- 쿵딱쿵
    덩- 딱딱 쿵딱쿵
    덩- 쿵딱 쿵딱쿵
    덩- 딱딱 쿵딱쿵 <- ?

  • 시위 중 실수 한 것 두가지 기자가 …

    시위 중 실수 한 것 두가지

    기자가 “합법 이민자로서 문서미비이민자 문제가 와닿는가”라고 물었을때 학교 친구들의 가족을 통해서 느낄 수 있다고 일단 둘러댔는데 (이건 2004년 대선 때 이민 이슈를 부각시키기 위하여 쓰던 전술) 그건 좀 약했고, “합법이 어디 있고 불법이 어디 있습니까? 이민자는 하나입니다! 제3세계에서 온 사람들과 이곳에 사는 이민자들이 힘을 합해야만 살 수 있습니다” 뭐 이런 정도가 술술 나와야 하는 건데 말이다. 다행히 기사는 안 실린듯.

    우리쪽 참가자와 박정희 이야기를 하면서 “박정희가 오늘날 살아있다면 이민자 권익 옹호의 편에 섰을까요?”라고 물어 우리의 연합 전선의 공동 모순인 이민법 개혁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 것을, 괜히 남로당 사건을 들추어 내어 의견이 갈리게 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