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Yongho Kim 김용호

  • 매캘리스터 대학 학생회 입법부, 모병관 금지 안을 통과시키다

    어쩔수 없이 주장과 자료가 섞이게 되었습니다. 일부분 저희 대학에 대한 소식이며 일부분 Deulpul 님에 대한 반론 제기입니다. (참고: 미국 대학에서 찬밥 대접받는 모병관들 http://deulpul.egloos.com/910968 )

    Amy Lieberman. LB Passes Anti-Military Recruitment Resolution: Federal Funds Could be at Stake if Ban Approved http://www.themacweekly.com/article.php?article=92

    미네소타주에 위치한 사립대학 매캘리스터의 학생회 입법부가 모병관이 대학에 진입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지난 주 25 대 3 표 (1표 기권)로 통과시켰습니다. 공식적인 이유는 미군 내부의 동성애자에 대한 “don’t ask, don’t tell” 정책이라고 하는 군요.

    클린턴 행정부 시대 공화당 다수의 의회에서 클린턴이 GLBT 진영에게 내줄만한 것은 겨우 “게이가 있어도 묻지는 않을테니 입군 해서 가만히 있다 나가면 된다”라는 일종의 휴전 협정이었습니다. ‘don’t ask, don’t tell” 정책은 이에 기인 한 것입니다. 이에 대한 비판과 과연 클린턴이 좀 더 강력한 GLBT 후원 구조를 내놓을 여력이 없었냐.. 하는 것은 요즘도 논의되는 내용입니다.

    Deulpul 님이 말씀하시는 “동성애자 차별”은 이것을 오독하신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동성애자를 차별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피치 못할 사정으로 군대에 들어가면 동성애자라는 것을 발설하지 못하게 되니 (이것이 알려지면 불명예 해고 dishonorable discharge 가 되는데.. 이럴 경우 금전적 영향이 있는지 뭔지는 잘 기억이 안납니다.) 억압이다, 라는 것이 주 주장입니다.

    의례 모든 대학에 존재하는 비차별 정책은 별것이 아니라 1972년 Title IX (대학 활동상의 성차별을 금지하는) 와 여러 인종 비차별 정책등등 연방정부 입법에 기인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학생회에서 결의안이 통과되면서 교수회에서 비슷한 내용의 결의안이 나오면 아마 이사회를 향해 학교 정책을 변경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수순이 되겠지요. 상기 기사에서는 이번 정책이 군대를 향한 막연한 반감이 아니라 오직 군대 내부의 동성애자 억압에 관한 방침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려 애를 쓰더군요. 스스로를 애국자라 칭하며, 졸업후 해병대로 갈 계획인 학생이 이번 결의안을 지지하는 이야기도 나오고..

    그래서 Deulpul 님의 다음 주장

    [사족] (….) 미국은 신병 모집에 동성애자들을 배제하는 데 대해 거국적으로 반발하는데, 신병 모집에 원천적이고 명시적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병역법에 대해 아무런 반발도 하지 않는 한국은 평등에 관한 한 까마득한 후진국인 것일까요.

    는 틀렸다고 봅니다. 반발 주장의 내용은 “동성애자를 모집하라!”가 아니라 “반타의에 의해 일단 군대에 가게 된 동성애자의 자기 표현을 허용하라!” 이거든요. 현재 반발하는 사람중 “이성애자가 모병 당하게 됬으니 동성애자도 평등(?)하게 모병하는 것이 마땅하다” 라는 생각으로 반발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는 말씀. 거기서 왜 여성이 튀어나옵니까.

    Deulpul 님이 밝혔듯이 모병관을 금지하는 대학은 연방정부 또는 주정부의 예산 책정을 맞금지 당할수도 있습니다. 이번 건도 우리 대학이 입을 금전 손해가 있느냐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데요, 연방 알바비 federal work-study employment 금액은 학생에게 직접 개인적으로 지급되는 금액이라 솔로몬 법에 해당되지 않고, 국가 의료연구소 (NIH), 국가 우주관리소 (NASA), 국가과학재단 (NSF)등 기관에서 나오는 연구비가 많지는 않지만 해당될 수 있다는 군요. 나머지는 대학이 자체 운용하는 금액이기 때문에 연방 정부의 눈치를 보지 않아도 되지만. 워낙 재정이 빠듯한 요즘이기 때문에 대학측에서는 민감하게 반응할 것 같습니다. 이거, 삼년 전 동료가 “이놈의 대학은 결국 미국의 이익을 위해서 봉사하는 거라구, 매일같이 정부 기관에서 후원금이 날아오는데 그게 국가의 이익 말고 또 뭘 위해서 쓰이는 것 같나”라고 했을 때 설마 그럴리가 있냐고 생각했다가 이제 보니 국가에 정면으로 대항하게 되면 (모병관 추방) 분명 불이익이 있군요.

    그리고 30억 달러라면 (3 billion) 너무 많은 액수로 보입니다. 2001년을 기준으로 예일 대학 총 지출이 13억 달러인데 사립 대학이 그렇게 많은 액수를 연방정부에서 보조 받을까요? 아마 3천만 달러 수준일것 같은데요 (300 million)

    그리고 계급(class)과 군대 모집에 대하여. 예전에 말씀드렸듯이 미국 대학 제도는 내국인 서민층에게 많은 후원을 해줍니다. 제가 보기에는 금전적 혜택때문에 ROTC 과정에 지원하게 되는 것이 아니라 결과적으로 속아넘어가서 (대학 재정 제도를 잘 몰라서) 지원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꼬심에 넘어가려면 고등과정중 충분치 않은 교육이 필요한데, 그래서 인종 이야기가 나오는 것이지요. 유색 인종이 군대 모집 과정 및 전투에서 과잉 이용되는 현상에 대해서는 많은 글이 나와있습니다. 구글에서 “army recruitment” + puerto rican / african american / latino / immigrant 정도 만 검색해보셔도 많은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물론 win85 님이 말씀하시는 것 처럼 흑인 90%이상인 도심 고등학교”만” 찾는 것은 아니지만, 일선 군인 사이에서는 저소득층/유색인종 쪽으로 편향되어 있고, 말씀하시는 차기 변호사/의사가 티비 광고나 모병관의 몇 마디에 넘어가겠습니까? 지휘관이나 기술자로나 차용되겠지요. 그 중 간략히 골라낸 것을 보자면.

    Military recruiters: Out of our schools!
    Hank Gonzalez http://www.socialistworld.net/index2.html?/eng/2004/10/15us.html
    유색인종은 미국에서 겨우 25% 를 차지하면서도 군대상에서는 40% 를 차지합니다. 이 중 흑인은 22%를 차지합니다 (통계상 흑인은 미국 인구의 11%입니다) 나이가 20살과 24살 사이의 흑인 청년의 실업률은 2003년 기준으로 44% 에 달합니다. 물론 관련이 있겠지요? 또한 유색인종은 전선 최일선에 투입되고 있습니다. 라티노는 군대의 10%이지만 이라크 전쟁중 사망자의 20% (2003년 기준으로 200명)은 라티노였습니다.

    그밖의 관련 글

    No Where Else to Go: Latino Youth and the Poverty Draft (print edition)
    By Jorge Mariscal http://www.politicalaffairs.net/article/view/295/1/36

    The Struggle Against ROTC in Puerto Rico
    by Carlos Suarez-Boulangger http://zmagsite.zmag.org/oct2002/boulangger1002.htm

    주류 담론쪽으로 편항된 시선이 보이는 것 같아 이리 저리 자료를 모아 보았습니다. Deulpul 님의 잘 정리된 글을 반박하기는 참 힘들군요.

  • 꽃나무

    역시 URL 의 자부심이 다릅네다.

    yokim.net 를 적었더니 본전도 못 뽑을 만한 콩나물이 튀어나오더니 미디어몹 주소를 입력하니 왠 괴식물이 튀어나옵네다.

    그렇습네다.

  • 구글로 스토킹 할 경우 몇 가지 팁

    구글의 연산자를 이용하여 보다 광범위한 스토킹 구현을 위한 일련의 팁이다. 왠만한 이들은 다 알고 있으나 개인정보 노출에 필요이상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이라면 한번 체크해보고 알맞는 조치를 취하도록 하시라.

    참고: 검색 엔진의 원리 http://readme.or.kr/blog/archives/000538.html
    구글 연산자: http://www.google.co.kr/intl/ko/help/refinesearch.html

    1. 상대를 파악
    속한 단체는 있는가, 어느 학교를 나왔는가, 어느 나라 출신인가, 특정 동호회/웹사이트에서 활동하는가 등등을 파악하면 많은 도움이 된다.

    2. 구글의 site: 기능 활용
    일단 단체를 파악하면 site: 를 이용해본다. 예를 들면 fidesmea 님의 경우 운동권에서 암약하다 이리 온 것 같으니 fidesmea site:org 또는 fidesmea site:or.kr 로 검색해보면 쉽게 범위가 축소된다. 또는 개코 site:kr 또는 마야 site:edu (edu 는 미국/국제 대학 공용 TLD) 또는 site:ac.kr (한국 대학) 이렇게 검색이 가능하다. 특정 기관을 알면 당연히 적용시키면 된다. 예: 최내현 site:ddanzi.com

    보너스: 특정 사이트를 빼고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노정태님을 찾고자 하는데 이미 알고 있는 미디어몹을 빼고 찾는 다면 이렇게: 노정태 -site:mediamob.co.kr 또는 노정태님과 라이프펜님이 티격태격 한것만 빼고 검색한다면 노정태 -라이프펜 site:mediamob.co.kr

    참고: gTLD http://www.icann.org/tlds/
    한국 도메인 정보 센터 http://www.domain.or.kr/

    3. 구글의 cache 기능 활용

    죽은 페이지라도 케쉬를 활용하면 검색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조작된흰색님을 구글링 했을 때, 이러한 페이지가 나온다.
    http://www.forcemax.pe.kr/palm/mediamob/
    이 페이지는 아마 forcemax 를 소유하는 사람이 미디어몹의 글을 간편하게 보려고 OPML 화일을 만든 후 개인 사용 RSS 리더기를 직접 만든것 같은데 최근 리뉴얼중 RSS 화일이 모두 asp 에서 aspx 로 바뀌면서 깨진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내용이 궁금한가? 구글에서 검색 바로 밑에 “supplemental result” 하고 “cached”라고 나오는 데 그것으로 누르면 가장 최근으로 구글이 저 페이지를 가져간 카피로 글이 뜬다. (요렇게)
    요것도 비슷한 원리

    다시 검색화면을 열수 없다면 구글창에 직접 주소를 입력해도 된다. 이럴 경우 Show Google’s cache of www.forcemax.pe.kr/palm/mediamob/ 이렇게 뜨는데 이것을 클릭하면 됨.

    구글의 단점은 캐시를 하나 밖에 저장하지 않는 다는 것이다. 에러 메시지가 404가 아니고 특정 페이지일 경우 (특히 포워드나 그런거) 다음에 구글봇이 찾아오면서 멀쩡한 페이지를 삭제하고 에러 페이지로 교체할 가능성도 없지않다. 그럼으로 (요기서 b.yokim.net/409/ ) 설파한 이야기는 약간 맞지 않을 수도 있겠다. 오래된 글일 경우 www.archive.org 로 찾아볼 수 있는데 워낙 엡데이트 싸이클이 느려서 블로그 같은 글은 잘 기록되지 않는다.

    4. 닉,아이디,또는 이름의 변형형을 적용

    미친 모자 장수라는 스트링으로 검색해서 건수가 너무 많다면 미친모자장수로 붙여서 쓰는 것이 건수도 줄고, 또한 복수 단어로 구현된 아이디를 쓰는 사람들은 보통 아이디를 줄여서 쓰게 되는 경우가 많다 포탈 사이트의 경우 아이디 길이를 제한하는 경우가 있으니까. 일단 이런 방식으로 스토킹해서 홈페이지등의 실마리를 찾아내면 다시 2번 및 3번을 활용한다.

    5. 조합이 가능한 경우 글을 조합한다. 그러니까 yongho kim 을 찾는 것과 “yongho kim” (따옴표 치고) 찾는 것은 같은 것이 아니다. 전자의 경우 yongho was found eating noodles in kim’s store 이러한 문장도 같이 검색이 됨으로 쓰는 것이 더 불편하다.

  • 증상을 즐겨라. RE: 체 게바라는 상품이 아니다

    참고로 전 좌익이 아닙니다.

    다음의 글에 대한 반론입니다. 부분요약했습니다.

    NeoScrum. 체 게바라는 너희의 상품이 아니다!
    자본가 놈들은 돈만 된다면 ‘혁명 전술’도 팔아먹을 놈들이다”라며 “체 게바라 좀 봐라. 그의 혁명정신은 다 어디 가버리고 이제 그의 이미지가 자본의 상품이 되어 여기저기 팔려다니고 있다”고 투덜거린 적이 있었습니다. 알다시피 이때 상품이 된 이미지는 체 게바라의 혁명 사상도 아니고, 끝없는 투쟁 정신도 아니요, 그가 접했던 남미의 현실도 아닙니다. 자본은 오직 ‘잘 생긴 전사가 풍겨주는 60년대의 낭만적 이미지’를 그의 사진에 담아 팔고 있는 것입니다. (… ) 코르다는 오히려 사진이 담긴 깃발이나 포스터가 퍼져가는 것을 체 게바라의 정신이 퍼져나가는 것으로 생각하면서 그저 행복해했다고 합니다.

    NeoScrum. 게바라는 니네 상품이 아니라니깐!!|
    체 게바라가 지네 상품을 위한 장식품이 아니라는 걸 좀 가르쳐줍시다. 해도해도 너무 하잖아..
    광고 문구도 아주 지랄이다. ‘진한 남자가 세상을 지배한’댄다. 아주 꼴깝을 떨고 앉았다. 도대체 언제 체 게바라가 ‘세상을 지배하고 싶다’고 했는지.. 이건 초상권, 저작권 침해를 넘어 인격모독이고, 혁명모독이다.

    자본주의에 저항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고 봅니다. 상인들이 잘생긴 전사가 풍겨주는 낭만적 이미지를 열심히 파는 동안, 게바라 지지자들은 높아진 인지도를 이용, 그의 이념을 열심히 설파하면 됩니다. 그러다가 걸리면 “우리는 물건이 더 잘 팔리게 하려구 브랜딩 광고를 하고 있었다”라고 둘러데면 됩니다.

    혁명이 별거 있습니까? 이념이 널리 퍼지고 그게 실행되면 그게 혁명이지요. 제멋도 모르고 무덤을 파는 시장 구조를 오히려 반겨야 할 것입니다. 매체, 광고, 티셔츠가 매일 매일 새로 태어나는 몇천만명의 인구에게 이념공세를 퍼붓지 않는다면, 당신이 나서서 공산당 선언을 읽어주시겠습니까?


    Fuente imagen: Agenda El Mundo al Revés 2005. (Dice arriba: San Salvador, El Salvador. Abajo: Timo)
    사진 출처: 2005년 거꾸로 보는 세상 수첩 2005. (상: 산 살바도르, 엘 살바도르. 하: 띠모)

    상기의, 살바도르에서 무슨 집회에 참여한것으로 보이는 원주민 할머니의 복장을 보시면 모자에, 귀고리에, 목걸이에 동남아시아 이름없는 어느 공장에서 생산되었을 체의 그림을 달고 있는 것이 보입니다. 이러한 아이콘은 착취 구조를 통해서 생산되었으니 착용하지 않고 집에서 만든 밋밋한 옷을 입고 참여해야 할까요? 몇천명이 모이는 집회에서 다들 동일 아이콘을 입고 구호를 외치는 것의 효과가 상상이 가시지요? 특히나 그런 단추나 티셔츠를 만드는 공장 앞으로 몰려와서 시위를 벌인다면 말이지요. 기껏 티셔츠를 만들어주었더니 우르르 입고 몰려와서 공장 철폐를 외친다.. 이들 앞에서 “얌마 우리 공장이 없었으면 너희는 티셔츠 입고 시위도 못한다”라고 비판하는 것은 반박할 필요도 없습니다. 어차피 발등에 불이 떨어진 쪽은 그네들이니까요.

    이렇게 꼬치꼬치 도덕성을 엄밀하게 캐묻는 취향은 기존 질서를 유지해야만 하는 우익의 그것이지 권위에 도전하는 좌익과는 거리가 멀다고 봅니다. 매사에 지지 않으려 안간힘을 쓰는 것 보다는 개발이 가능한 분야로 계속 미는 것이 승산이 있겠지요.

    옛 카리브해 노예 사회에서는 주인의 권위를 뒤흔들때, 자신 있으면 정면으로 대항하는 사자의 언어와 조그맣게, 가끔 가끔 일을 능률을 낮추거나 생산 라인을 사보타지함으로서 소극적으로 저항하는 거미의 언어라는 전략이 있습니다. 적군이 거미의 언어를 이용해 투항해온다면 못 받아줄 것도 없다는 생각입니다.

  • what is hangukilbo's politics?

    P sent this:

    Korean community moved by black students learning Korean
    By Chung-eu Lee, Korea Times New York, 10 February 2005. Translated from Korean by Sun-yong Reinish.
    http://www.indypressny.org/article.php3?ArticleID=1926

    It’s easy to grab on the colonial intentions behind wishing other “minorities” to learn your language, in particular on the black/korean relations in the east coast. What are the politics of these people? What are they trying to achieve?

    Hangukilbo (Korean Times) does not seem to be affiliated with Chosunilbo, or Donga, or others in the peninsula. Who are these guys? Why do they have an article that talks about koreans benefitting from Bush’s TWP (wow! ‘임시고용허가’ 어찌되나), does the newspaper cater to undocumented, non-resident aliens as well?

    ‘리얼ID’ 반대 캠페인 http://www.koreatimes.com/articleview.asp?id=229619

    But then, I see this article, and I’m not so sure

    90% 투표율 못 올릴 이유 없다
    http://www.koreatimes.com/articleview.asp?id=229920

    ‘한인들은 반드시 투표한다’는 이미지만 심어진다면 우리는 차별을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4.29폭동이후 피해자인 한인상인들을 돕기보다 가해자인 흑인표밭 눈치보기에 급급했던 정치인들이 우리가 어려울 때 줄이어 찾아와 “무엇이 필요하냐”고 돕기를 자청할 것이다. (…) 이제 미국의 법은 소수계에도 시민의 권리를 공정하게 보장해 주고 있다. 그러나 이 권리란 행사하지 않으면 언제든 상실될 가능성이 있다. 법이 사람들 마음속에 깊이 뿌리내린 편견까지 없애주지는 않기 때문이다. 이런 편견에 대처할 수 있는 길은 정치적 힘을 기르는 것뿐이다.

  • [날강도질] 노정태. 이미 말하여진

    이미 말하여진
    By 노정태 on 자족적인 것들 – 언어로 이루어진 것들
    rasugjuriha.8con.net/tt (쓰고 지움)

    아주 특수한 경우, 혹은 이러이러한 기사를 쓰겠다고 설득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나는 손으로 쓸 내용을 입으로 떠들지 않는 편이다. 언어를 빚어내는 찰흙은 공기에 노출되면 금새 굳어지는 법이니까. 그리고, 내 구강 기관과 화술을 도무지 신뢰할 수가 없으니까. 그럴 때 나는 침잠한다. 침묵의 이면에서 언젠가 쓰여져야 할 내용을 다듬고 있다.

    나는 발화행위가 갖는 어떤 고정(fix)현상에 주목한다. 그것은 혼돈의 덩어리에 불과했던 언어 이전의 무언가를, 다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만든다.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것들은 많다. 하지만 말하여지지 않는 한 그것들은, 서로에게 공히 인정되어있고 누군가에게 조언을 구할 수도 있다는 의미에서의, 객관적인 것이 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