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Yongho Kim 김용호

  • 보호된 글: bah yo puedo leer todos esos 그렇다면 를…

    이 콘텐츠는 비밀번호로 보호되어 있습니다. 이 콘텐츠를 보려면 아래에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 번역을 하는 것 또한 이제껏 이해한줄 알고 지나간…

    번역을 하는 것 또한 이제껏 이해한줄 알고 지나간 개념들을 곱씹어보는 대에 도움이 된다. 제니퍼의 엉덩이를 번역하면서 맞닥뜨린 cinnamon 이라는 향료- 이게 레몬과 비슷한 톤의 물건인줄 알았는데, 붉은 빛이 감도는 갈색을 지칭한단다. dictionary.reference.com/search?q=cinnamon 이제껏 씨나몬, 씨나몬을 들으면서 연노랑을 상상했는데.

  • 테터, 라이브저널과 미디어몹에서 XML 을 이용해서 워드프레스로 옮기는 방법

    두달전에 이용한 반자동 마이그레이션. 각각의 블로그에 약 100-300개정도의 글이 있다고 가정한다. 더 많으면 손꾸락이 아프다.

    본 방식으로 보존되는 것: (XML에 포함)
    ㄱ. 글 내용
    ㄴ. 글 날짜, 제목

    옮겨지지 않는 것 (XML에 비포함/비호환)
    ㄷ. 글 분류
    ㄹ. 방명록
    ㅁ. 답글, 먼댓글

    참고: Movable Type, b2, Greymatter, Textpattern, Livejournal, Radio Userland, b2 evolution 을 위한 마이그레이션 툴은 여기 있다. codex.wordpress.org/Importing_from_other_blogging_software 내가 라이브저널에서 마이그레이션 할때는 이런 것이 있다는 줄 몰랐다.

    여제상 본인의 웹사이트를 쓴다.

    http://livejournal.com/users/yonghokim
    http://yokim.net/tt/
    http://mediamob.co.kr/yonghokim

    1. XML 화일을 뽑는다.

    http://www.livejournal.com/users/yonghokim/data/rss
    http://yokim.net/tt/index.xml
    http://mediamob.co.kr/yonghokim/rss.aspx

    이 파일을 하드에 저장한다.

    보통 XML 화일당 글 10개 정도로 갯수가 정해져 있다. 테터는 30개까지 확장할수 있음. 관리자 화면을 찾아 보시라.

    2. 일단 10개 또는 30개를 뽑으면, 해당 글을 지운다. 라이브저널은 UI 프로그램가지고 상당히 빠르게 지울수 있으니 이점 참고하시라. livejournal.com/download

    3. 다시 1번으로 되돌아가서 XML 화일을 뽑는다. 옛 화일이 보이면 CTRL+F5 로 강제 새로고침. 그러면 그 다음 30개 또는 10개 글이 나온다. 글이 다 지워질때까지 단순 반복.

    3.ㄱ. 꼼수를 잘 부리면 이렇게 해서 나온 열개가량의 XML 화일을 하나로 합쳐버릴수 있을지도 모른다. 단, 태그를 잘 보시고 수정하시라.

    4. 인코딩을 결정. EUC-KR 로 계속 갈 생각이라면 테터와 미디어몹은 그대로 두고, 라이브저널을 UTF-8 에서 EUC-KR 로 바꾸어야 함. 만약 UTF-8 방식으로 전환할 생각이라면 그 반대의 작업 수행.

    4.ㄱ. 변환 작업은 이것을 사용했다. …biglobe.ne.jp/~harigaya…

    4.ㄴ. 변환 후에는 꼭 첫줄의 encoding=”euc-kr” 을 변환 후의 인코딩에 맞게 수정. utf-8 는 encoding=”utf-8″ 임.

    5. 다음의 화일을 수정해서 XML 화일 경로를 차례대로 넣어준다. http://설치폴더/wp-admin/import-rss.php

  • 다른 구독용 주소

    EUC-KR http://yokim.net/text/index.xml

  • 두달전 그녀는 스치듯이 왜 사람들은 뻔히 궁금하지도…

    두달전, 그녀는 스치듯이 “왜 사람들은 뻔히 궁금하지도 않으면서 안부를 (how are you doing?) 묻을까?” 라고 한 것 뿐이다. 그 한마디에 녹아버렸다.

  • 기술반란: 이채와 언니들+블로그

    (한달전에 시작한 글, 이제야 나름대로 마무리)

    ichae1982.com

    이채. 언냐들 프로젝트를 구경하다가 달군님 블로그 (몇 주전에 여기 왔는데 이게 언냐들 프로젝트인줄 알았음. 저걸 어디서 봤더라? 가디록님이 소개한 곳이 아니던가? 음.. 하튼 ) 에서 링크보곤 찾아가보았는데, 놀랐다. 디자인만으로도 저렇게 분위기를 낼 수 있다는 것을.

    하고 싶었던 이야기는 그게 아니라, 달군님의 요 이야기에 대한 감상이다. 약간 연관은 된다.

    블로걸, 본격시작! 시작멤버 모집
    blog.jinbo.net/dalgun/?pid=330

    사회 소수가 주체가 되어 계획을 진행하다 보면 차질이 많길 마련이다. 특히, 교육. 체계적으로 제도에서 소외된 이들이 일을 하면 숙련된 일손이 모자라게 된다. 한달이나 묵은 글이라서 좀 계속 논지를 펴는 것이 뭐하지만, 예전에 보았을땐 부족한 점이 많았다. 토론이 촛점이 안 맞고 진행되는 것 같았고, 언냐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에 있어서 여러 기술해결패케지를 토의하는데 다른 이런 것도 논의했으면.. 하는 아쉬움도 잇었다. 좀 더 시간이 지나면서 이지님과 달군님을 가볍게 보았다가는 큰코다칠수 있다는 것도 깨닫게 되었지만 여튼 첫 인상은 그랬다.

    그떄 뛰어들어서 “지지하는 아무개인데요 요런 방식을 도입하면 어떨까요”라고 하고 싶은 충동을 억누른 것이 옳았다고 생각한다. 소수가 주축이 되어 진행한다는 것 자체가 저항운동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사회변화는 일정한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그 목표를 향해 진행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시행착오, 맺어지는 인맥 및 사회인프라 양성, 변화에 대한 외부의 인식등 다방면에서 동시로 여러 차원의 변화가 끊임없이 생기게 된다. 에, 적어도 Rachleff 교수는 그렇다고 한다.

    Tricia Rose 교수는 Black Noise (1997) 라는 저서에서 흑인 기술공 (남성이 주축이 되는)들의, 힙합 문화에서의 공로를 이렇게 해석한다: “백인 사회에 가장 싸게 숙련된 노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그러면서 어느 정도 먹고 살만한 수준의 교육을 받은 이들 기술자들은 일단 경제적인 기반을 잡고는 힙합 문화에 참여하기 시작한다. 음악기술실력을 이용해 흑인전통의 연장선에 있는 R&B 및 컨츄리음악을 리믹스하는가 하면 노동 출력 효율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진 일련의 공업용 기계를 분해해서 새로운 소리를 내는 기계를 즉석에서 만들기도 한다. 특히 원래 의도와는 전혀 다르게 응용하는 점이 주목할만하다. 전기전달이 주목적인 코일을 꼬아서 저음을 내는 것이 그 중 하나. (탈산업화된의 대도시에서는 이러한 재료를 구하기가 상당히 쉽다) 로즈는 이러한 일련의 작업들이 “주인”을 위해 교육된 기술을 역이용하는, 기술반란 (이러한 용어가 로즈의 것인지는 기억나지 않는다)이라고 지칭한다.

    언니들 프로젝트는 남성위주의 첨단기술산업에서 암약하고 있던 여성들이 체제 내부에서 점진적으로 자주적 운동의 기반을 마련하는, 일종의 점진적 기술반란/혁명이 아닌가. 이미 잘 나가고 있는 어딘가의 페메니즘 블로그의 운영자들은 이렇게 말한다. “because blogs are not just boys toys”. (정확한지 모름) 늘상 그렇듯이 혁명은 가까이서 들여다 보면 잘 보이지 않는 법이다.

    추가 잡담. 이리 저리 글을 뒤지다 보니 요런 글도 발견했다. 기분이 좋다.
    TATTING 시작 hypercortex.net/tt/index.php?pl=2&ct1=-1 中

    덧글)
    해외의 여성 사이버액티비스트들은 Networking을 이미지로 형상화할 때, Weaving 이라는 단어를 주로 쓴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어쨌든 난 Tatting보다는 Weaving이 좋다.)

    여성의 노동이지요. 혼란기중에도 사회를 지탱하는 여성의 노동. 흐흐. 설마 테터도 그러한 시각으로 작명되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