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플러스를 포기하고 다시 워드프레스로 옮겨가긴 했는데 ( http://yokim.net ) 지금까지 써놓은 거를 워드프레스로 가져가고 싶다.. 그런데 대부분의 플러그인이 작동하지 않고 그나마 작동하는 놈들은 퍼블릭 공개 글만 가져갈 수 있다.. 으앙 망함
[카테고리:] 미분류
-
http ytnradio us m news read asp seq=36377.9999
가끔씩 상담을 하게 될 때 답답한 것이 피해자의 앞뒤 없이 패해당한 것과 억울하다는 것만 반복하는 서술 스타일이다. 어디서 뭘 누구에게 어떤 맥락에서 당했는지는 빠지고 “그 사람 나쁘다”와 “억울해서 피가 솟구친다”만이 남게 된다. 상담 할 때 어떤 법을 어겼는지, 어떤 전문가가 필요한지 파악해서 안내를 해줘야 하는데 이러면 간단한 수도 있는 리퍼럴 제공하는것에 시간이 많이 들어가게 된다. 특히 사실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중립적인 입장에서 몇가지 질문만 해도 팍 반응하며 “내가 억울해죽겠는데 뭘 의심하고 들어!”라는 반응을 보이면 이 사람은 상담이 필요한게 아니고 그저 위로 해줄 친구가 없어서 온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게 된다. 그러니까 상담해주는 사람은 무조건 내 편이어야 되고 만에 하나 아니라는 기미가 보이면 다시 감정 곰격을 통해 나의 억울함을 어필하는 거다.
물론 아주 억울한 일을 당하면 화가 나서 정신이 없고 억울하다는 것밖에 생각 안 날수도 있다. 그렇지만 집에서 혼자 우는 것이 아니라 상담을 하러 왔으면 상담을 해야 할 것이 아닌가? 내가 당신 엄마라면 또 모르겠지만.. 아니 사싫 내가 엄마라도 가해자가 내 앞에서 있고 다시(계속) 피해자를 때리려고 하거나 그런 상황이 아니라면 일단 사실관계부터 들어봤으면 좋겠다.
인간의 본성이 원래 그런건가 하고 있었는 데 이 기사를 보고 새로운 생각이 들었다:
(제목) 린다 김 폭행 어쩌고
http://ytnradio.us/m/news-read.asp?seq=36377.9999린다 김이라는 돈많고 힘있을 것 같은 사람이 5천 달러를 빌렸는데 채무 만기가 되어 돈을 돌려달라는 사람에게 돈은 돌려주지 않고 욕을 하고 뺨을 때리고 무릎을 꿇혔다는 기사다. 이 기사를 읽으면 “돈 많은 것들이 꼬라지는..”라는 생각도 들지만 일단 사실관계가 궁금하지 않을수가 없다. 엄청난 갑부라는 사람이 왜 고작 오천 달러를 빌리지? 은행 대출 같은거는 못 받는 건가? 갚을 생각도 없으면서 채권자는 왜 만난거지? 백보 양보해서 이 사람이 뭔가 미친 거라서 채권자를 만나서 뺨을 때리고 욕을 했다고 치자. 채권자가 남자인것 같은데 무릎은 어떻게 꿇린거지? 무릎을 꿇는 신체적 동작은 나보다 힘센 사람이 힘으로 어떻게 한다고 해서 가능한게 아니다. 내가 자발적으로 꿇ㄹ어야 한다. 그 과정에 위협 등이 들어갈 수는 있겠다. 어쩄든 내가 무릎을 꿇어야 한다. 그런데 어떻게 무릎을 꿇린거지? 채권자의 약점이라도 잡았나? 깡패들을 동원했나? 의문 투성이일 수 밖에 없다.
근데 기자들은 별 의문도 없이 이런 사실들을 그냥 쓰기만 하고 있다. 분명 사실관계가 요약될 것일텐데, 요약을 이따위로 밖에 못하나? 나머지 관계들을 어떻게 독자가 알아서 연결하라고..
이 기사에는 “린다 김이 나쁜 놈이고 채권자는 억울하다”라는 서술밖에 없다. 그게 피해자의 증언 내용 전부라고 하더라도 언론에서는 좀 말이 되게 조사를 하고 밝혀봐야 하는게 아닐까?
혹시 이런 무책임한 보도 행위가 사람들에게 잘못된 습관을 들여놓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들이 맨날 이런 기사만 보니까 “나도 내가 억울함을 주장하려면 이렇게 즉흥적인 감정에 호소해야 한다”라고 생각하게 된 거 아닐까?
-
…
으아아 대개 특이한 꿈응 꾸었다. 꿈 내용은 특이할 것도 없이 대학 건물 같은데서 동아리 비슥하게 사람들이 모여서 노는 건데 그 와중에 나는 침대에서 이불 속으로 들어가서 대형 스크린에다가 (동아리가 제작한?) 실험적 성격이 강한 영상 제작물을 보는데 좀 개그 소제도 있고 공포물도 있는데 그 중 공포물은 짧은 제품들이었는데도 지금 깨어나서 생각해도 무서움,, 주로 그로테스크 계열 소재였던 같은데.. 여기서 웃긴점은 내가 1) 꿈(영상) 속에서 2) 영상물을 보고ㅜ있었고 3) 그 영상은 내가 생전 처음 보는 것이었음. 옆에서 놀던 사람들도 가끔 옆으로 와서 같이 보기도 함. 마지막에 파할때는 내가 갑자기 아이디어가 생겨서 사실 그 노는거 캠코더 설치해놓고 찍고 있었는데 사람들이 캠코더 앞에서 지그재그로 교차하면 영상면에서 괜찮을 것 같아서 테이블을 특정 패턴으로설치해놓고 사람들에게 그 패턴으로 따라서 자유롭게 돌아다닐것을 요청. 오오 그 구도로 찍으면 꽤 괜찮을 것 같은데 나중에 해봐야겠다. 기보적으로 길놀이를 한쪽 코너에서 사람 키와 같은 높이로 찍는건데 사람들 행렬 배열을 더 촘촘하게 해서 뒷배경이 꽉차게 하는거..
-
…
#Baccano 라는 애니메이션을 보고 있습니다. 영상립에 영어 자막이 같이 딸려왔는데, 이걸 보면서 역시 일본 애니메이션의 영어 자막에는 한계가 있는게 아닐까 생각하게 됩니다. 아래 이미지들은 그 예시인데, 원어가 뭔지는 몰라도 "흐름을 탄다"라는 표현을 옮기지 못해서 직역을 해버린 케이스입니다. 그 밖에 삼국지의 주역을 "조조와 유비 그리고 호쿠사이"라고 얼버무리는 미니개그 감각이 전달이 안 될 것 같다라던지 (설마 영어권 애니 수요층이 삼국지를 알지는 않겠지!).. 이점에 대해서는 한번 설파한적이 있는데 http://www.reddit.com/r/anime/comments/1xpkv4/watching_sword_art_online_for_first_time_love_it/cfdhxhw?context=3 다시 생각해보면 한국어 문화권은 일본 문화를 향유하기에 타고난 지리적 조건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질적으로 느껴질만큼 떨어져 있지만 다른 문화권들과 비교했을 때 가장 인접해 있기 떄문에 뉘앙스나 맥락 같은것을 쉽게 캐치할 수 있기 때문에..
그건 그렇고 조조는 SouSou 가 아니라 CaoCao 가 아니였나?
-
한국근대사 학습반
이 문서는 바로 보는 우리 역사 2: 근현대 사회 (구로 역사 연구소, 1990. 거름 출판) 에 사용되는 어휘중 LA의 2006년 한국근대사 학습반의 학생들이 이해하기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는 표현들을 정리 및 설명한 것이다.
근대 변혁 운동의 태동과 시련
- 자본주의 열강의 침입과 조선 민중의 반침략 투쟁
- 자주적 근대화의 위기
- 갑오 농민 전쟁
# 갑오 개혁
민족의 위기와 항일 구국 의병 전쟁
- 식민지화의 위기와 지배층의 동향
- 민중의 생활과 반제 반봉건 투쟁
- 일본 제국주의 침략 책동과 민족의 분노
- 항일 구국 의병 전쟁
일제의 무단 통치와 3.1 운동
무단 통치와 민중의 처지
1) 무단 통치의 실시
- 합병: 하나로 바꾼다
- 무단 통치: 무력을 수단으로 하는 통치 rule by force
- 군 단위에서 면 단위로 개편: 군>면. to reorganize administrative units from 군 to 면 (to smaller units)
- 직속: 담당자에게 직접 지시를 받는 under direct supervision
- 부호 : 부요한 가문 wealthy (extended) family
- 토벌 : 공격하여 없애다 hit & destroy
- 즉결 처분: 기다리지 않고 바로 처리하는 것 immediate resolution
- 민사 조정 : 민법 일을 중간에서 처리하는 것 moderating civil lawsuits
- 징세 : 세금을 걷는 것 taxation
- 방방곡곡 : (오타? 방방곳곳으로 알고 있음) 모든 방향으로, 모든 조그만 곳간에 everywhere (every direction, every little quarter)
- 소학교: 소학교->국민학교->초등학교 elementary school
- 폐간: 간행 중단 stop pulbication
- 계몽: 빛을 보게 하는 것, 깨우치게 하는 것 englightment
- 압수 : 강제로 빼앗는다 to take away by force
- 집회: 모이는 것 gathering
- 말살: 끝까지 죽이는 것. Arnold
- 강요: 강제로 요구하다
- 순응: 순종하며 응하다 obey and follow orders
- 악X: 나쁜 X (예: 악법)
2) 빼았긴 들, 빼았긴 산
- 원료 : 원래 재료 raw material
- 심사 과정: 기준에 맞는지 평가하는 것 evaluation to see if qualifies
- 헐값: 헌것의 가격 price of the item when overused
- 경작 (耕作): 땅을 쟁기로 가는 것 to work the land
- 포석 : 바둑을 둘 때 미래를 대비하여 돌의 형태를 준비하는 것 to arrange the stones strategically when playing go
- 하늘의 별따기: 껑충 뛰어서 하늘의 별을 손으로 잡는 것 만큼 어려운 일
- 비호 : 잘못을 덮어서 보호하는 것
- 정미업: 쌀을 정제 (to refine, process) 하는 산업
- 호응: 좋은 반응
- 기아 :
- 간도: 만주에서 조선족이 많이 사는 남부 (Wikipedia:지린 성)
- 황야: 황무한 (풀이 없어서 누런 맨땅이 들어나 보이는) 들판
- 주역: 중심 역할 main role
1910년대 항일 운동
1) 다시 조직되는 항일 단체들
- 근거지 : 활동하며 사는 곳 base camp
- 연해주: 러시아의 Vladivostok 이 있는 지역. 옛 발해 땅. (Wikipedia:프리모르스키 크라이)
- 양성: 양적 성장 growth in numbers
- XX계의 인사: XX를 하는 중요한 사람(들) figures in the world of XX (예: 운동계의 인사)
- 맥을 잇는 : 전통을 이어받는 follow in the tradition of
- 외피 : 외부 피부 outer skin
2) 농민과 노동자의 생존권 투쟁
- 측량: 땅의 형태를 조사하는 것 cartography
- 말뚝: 땅에 박아놓은 굵은 나무 막대기 wood stocks?
- 기재 : materials
- 처단 : 죽임
- 혹사 : 혹독하게 일을 시키는 것
- 불어났다 : 국수가 물에 불어나듯 숫자가 늘다
- 사회 진출 : 일자리를 얻다 (사회=어른세상=취직)
1919년 3.1 운동
1) 무르익은 시위 계획
- 무르익는 : 고기가 익어서 음식이 준비되듯이, 계획이 준비되어 간다 (무르익은=준비가 다 되었다, 행동을 취할 때가 다 되었다)
- 정세 : 정치의 형세 the chi (shape) of politics
- 안팎: 안쪽과 바깥
- 제창: 처음 제안 first to propose
- 패전국: 전쟁에 패배한 국가
- 전승국 / 승전국 : 전쟁에 승리한 국가
- XX를 불러일으켰다: XX가 나타나도록 자극한다. to bring about XX
- 강화 : 전쟁을 하는 나라끼리 하는 회의 war negotiations
2) 아, 조선 독립 만세!
- 함성: 고함치는 목소리
- 수갑: 손을 묶는 도구 handcuff (footcuff=족쇄)
- 한몫을 하였다 : 하나의 역할을 맡았다 played a role
- 삽시간에: 순식간에
- X에 의해서 이끌어졌다: led by X
- 마을 어귀 : 마을 입구, 들어가는 곳
- 정자 나무 : 대장군 나무???
- 격문: 행동을 촉구하는 문장 call to arms, call to action
- 봉화 연기 : (중세의) 급한일이 있을때 연기를 내어 연락하는 것 signal fire smoke (medieval)
- 횃불: torch light
- 허망한
- 쇠스랑 : iron chain
- 괭이 자루
- 조업 : 조립 일 assembly work
- 제철 : 철을 제련 iron refining
- 자진 XX : 스스로 나서서 하는 XX
- 퇴교: 학교를 나오는 것
- XX당: hall of XX (예: 교회당 = church building)
- 숯불: charcoal fire
- 화로: 불 난로 fire heater
- 음문: 여성 생식기 female reproductive organ
- 냉각: 차갑게 하여 굳히는 것, 얼리는 것 – to freeze, congelar
3) 3.1운동이 남긴 역사적 교훈
- 대응: 맞서 반응하다. counter-response
- 절실히:
- 동정: compassion
1920년대 민족 해방 운동의 발전
문화 통치와 조선 민중의 처지
1) 문화 통치의 실상
- XX의 실상: 실제 상황 realities of XX
- 누그러뜨리고 : 부드럽게 만드는 것
- 분열: 찢어져 갈라짐. (cell reproduction)
- 악명: 나쁜 이름 bad name
- 실시 : carry out
- 들어앉히는: 들어오게해서 자리 (officer position)를 주는 것
- 가차없이 : hard-line
- 이간질: 서로 싸우게 하는 것 incite internal fights
2) 쌀의 수탈과 농민의 처지
- 수탈: 收奪 강제로 빼았음
- 동원 : mobilize
- XX 00 석: 00 bags of XX (grain)
- XX량: quantity of X (예: 소비량=amount consumed)
- XX료: XX를 이유로 거두는 요금, XX fees
- 화전: 밭을 태워 농사를 짓는 방법 dash & burn agriculture
- 걸인: 구걸하는 사람. 거지
3) 식민지 죽공업화
- 영세: small profits
- 대립: competing relationship, opposing relationship
- 밀착: 가깝게 지내며 서로 도운다. 보통 뇌물과 관련
- 지부: local branch
부르주아 민족 운동의 전개와 분화
1) 제만 독립군의 무장 투쟁
- 압록강: 북조선과 중국의 국경이 되는 강. (Wikipedia:압록강)
- 두만강: 북조선의 강. (Wikipedia:두만강)
- 항일: 일본 제국에 저항하는
- 뿌리뽑는다: uproot
- 장작림, 장쭤린: 일제의 후원을 받은 만주국의 통치자 (Wikipedia:en:Zhang Zuolin)
- 사단: 군대의 통솔 단위 (Wikipedia:en:Formation (military)) 중 가장 큰 단위. 대장이 지휘. army (as in the 5th Army, the 108th Airborne Army, etc), military formation led by a general
- 출동:
- 만만치 않다: 쉽게 이길수 없다
- 전과: 전투 실적 battle victory record
- 매복: 埋伏 적을 습격하거나 관찰하려고 숨어 있는 것 to hide in order to run a snake attack or observe the enemy
- 쳐들어간다: 상대 땅으로 공격해 들어간다 to enter and attack other’s territory
- 쳐들어온다: “쳐들어간다”를 당한다. the receiving side of 쳐들어간다
- 전멸: 모두 죽거나 망하는 것 complete defeat
- 전멸시켰다: to defeat the enemy completely
- 작전: battle plan
- 후퇴 : 되로 물러남. to retrocede
- 거듭하는 : 계속 반복하는 것: to repeat
- 살상: 죽이는 것 to kill
- 보복: 복수 revenge
- XX 년, 경신년: year according to the 10×12 year cycle. More at [1]
- 야만적: barbarous
- 울부짖는 : cry out loud (COL?)
- 흑룡강: 아무르 강 러시아-몽고-중국을 통과하는 강. Amur river Wikipedia:en:Amur (kor name: black dragon river)
- 대열: 대를 지어 늘어선 열. columns of things (usually soldiers)
- 정비: repair, check for faulty functioning
- 대열을 정비: military reorganization
- 주도권: lead role, hegemony
- XX시: city of XX
- 참변: 아픈 일. painful incident
- 불신: 믿지 못하는 상태 lack of trust
- 방랑 : aimless roaming
- 극복: overcome
- 쇠퇴:
- 계승: 전통을 잇는 (=맥을 잇는) follow the tradition of
- 약점: weak points
- 한계: limitations
2) 상해 임시 정부의 외교 활동
- 한성: 서울의 옛 이름
- 국민 의회: National Congress
- 상해: Shanghai
- 통합: 하나로 합침
- 임시 정부: provisional government
- 국무 총리: prime minister of national affairs
- 연통제: 국내의 비밀 연락망 korean underground network in the peninsula (re: Wikipedia:대한민국임시정부)
- 실시: to bring into effect
- 추진: push forward
- XX론: theory of XX. in politics: XX line of thought
- XX파: XX branch (politics)
- 성과: results
- 사탕발림: sugar-coated
- 의욕적: willfull
- 일방적: unilateral, uncorresponded
- 짝사랑: puppy love
- 군축: 군사 축소 military reduction
- 청원: request
- 거들떠 보지 않았다: 듣지 않았다. completely disregarded
- 탄알: gun bullet
- 원수: head of state
- 사활: matter of life or death
- 과신: 지나치게 믿는 것 over trust
- 매개: medium
- 재건: 다시 건설하는 것 rebuild
- 개최:
- 명맥: 이름으로서만 맥을 잇는 것 continue on the traditions by merely keeping the name
- 본질: original substance
- 사대주의: 외세와 외부 문물이 무조건적으로 뛰어난 것으로 여기는 의식 ideology that deems things foreign to be unconditionally better
3) 민족 개량주의 운동의 대두
- 개량주의 : reformism (in a pejorative connotation. a more positive connotation uses 개혁)
- 대두: to emerge
- 대가:
- 기만책: 속여서 어떤 것을 그것이 아닌 것으로 보이도록 하는 책동. scheme to make something pass for something it is not
- 번영: prosperity
- 무지: ignorant
- 나태: weak and lazy
- 애용: 사랑하여 이용하기. preferred consumption/purchasing
- 경성 제국 대학: 오늘날의 서울대 Seoul National University during imperial rule
- 물산
- 장려:
- 장악: dominate
- 문맹: illiteracy
- 축적: accumulate
- 한술 더 떠서:
- 자치권: self-governance
- 기회주의: opportunism
- 유감없이 XX한다: XX를 뛰어난 실력으로 한다. outstandingly perform XX
- 대변: speak on behalf of, (represent?)
- 타협: concession
- 단호: stern
- 일관: 흔들림 없이 원칙대로 principled action
- 전개: unfold
- 외면: ignore
사회주의 운동의 성장과 민족 해방 운동의 발전
1) 사회주의의 전파와 조선 공산당의 창립
- 전파: transmission
- 창립: 처음 설립. first founding
- 들어선 XX 정부 또는 국가: 권력을 잡은 XX 정부 XX government is in power
- 한 줄기 빛: a bright spot (in the dark)
- 허구성: 현실의 반대. fabricatedness
- XX성: XXness
- 잔재: 남아있는 찌꺼기 remnants
- XX에 힘을 기울였다: XX를 열심히 했다 to work hard on XX
- 결성: formed
- 은밀: secret
- 추진: 앞으로 나아가는 것
- 창건: 처음 건설 first buildup
- 지도부: cabecillas
- 전선: 전투 선 front
- 의식: consciousness
- 엠엘파: Marxist-Leninist (ML 엠엘) line of though
- 파벌: 파로 나뉜 무리 groups separated by lines of thought
2) 민중 운동의 고양
- 고양: sharpening
- 동요: agitation (as in not finding their niche)
- 토목: construction
- 관철: achieve
- 상부 상조: 서로 서로 도움
- 탈바꿈: 탈(가면, 이미지)를 바꾸다 morph
- 총파업: general strike
- 구타: 사람을 때리는 것
- 규찰: watchdog
- XX대: corps for XX
- 대비: 대응하여 준비하다
- 성원: 소리를 지르며 응원하다 outspoken support
- 쾌거: 통쾌한 큰 일. big and exhilarating affair
- 악질: 나쁜
- 쟁의: 서로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여 다투는 것 to fight based on opposing views
- 농성: 한곳에 모여서 버티는 것 to gather and hold place
- 구속: incarcerate
- 구출: rescue
- 격렬: 몹시 뜨겁게 fierce
- 백정: 짐승을 죽이는 직업 butcher
- 양상: situation 시츄에이션
- 자각: 스스로 깨닫는 것 self-consciousness
- 합법: 법에 맞는 lawful
- 궁극적: ultimately
3) 신간회의 성립과 민족 해방 운동의 발전
- 꾀하다: 해보려고 하다 attempt
- 기운: 기의 모습 shape of chi 힘 strength
- 역량: 할 수 있는 힘 capacity
- 배척: 반대하여 물리침. oppose (opinion) and oppose (material)
- 대동단결 : 大同團結 나뉘었던 무리들이 작은 차이는 버리고 하나로 합침 the grand coalition of various formerly separated groups, setting aside small differences, to achieve one goal
- 지회: 지부 회 local chapter committee
- 수력 발전소: hydroelectric power plant
- 장진강: 북조선의 강
- 유역: 강의 주변 riverside
- 매립지: 묻는 땅 land in which it’s buried
- 생계 : means of livelihood
- 진상: 진실된 그림 true image of a thing
- 여론: 많은 사람의 의견 public opinion
- 빌미: 이유 reason (causal)
항일 무장 투쟁과 민족의 해방
몸부림치는 일본 제국주의
1) 일제의 대륙 침략 [수정] 6
Meta
- 학습반 연락처
- 엠파스 한자사전
- 한국어 위키백과
일정
- 12/1 첫 모임, 소개
- 1/12 제1절 HRK
- 1/19 제2절 YHK 제2절. 제국주의 침략과 저항 운동, 그리고 반동
- 1/26 제3절 DHK
- 2/2 제4절 JHL
- 2/9 “광복 특집: 사할린에 버려진 사람들” 상영, South Central Farm
- 2/16 제5절
- 2/23 제6절 DP
- 3/2 한국 남북 전쟁 초빙 강사 특강
- 제7절 LSW+A
- 제8절 DK
- 제9절 J
- 제10절
- supp?
배우는 노래
- 제2절, 제3절.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상화 시, 변규백 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