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친구의 속도가 느릴 때는 조금 그 속도에 맞춰주는 거, 물론 급우들(아놔 자꾸만 “극우들” 이라고 들리는데??) 입장에서는 억울할수도 있어요, 조금 속상할 수 있어요. “왜 우리가 이걸 배려해야 되고 맞춰줘야 하냐?” 이럴 수 있는데요, 우리 결국 인간의 삶은 나와 다른 사람들을 이해해나가는 과정에서 내가 조금 맞춰주기도 하고, 조금 손해도 보고, 이해해주는 것이 그 개인의 사회성을 발달시키는데 너무나 중요한 기회가 되기 때문에요, 너무 손해라고 생각하지 마시고, 다양한 종류의 사람과 잘 어울려 살아가는 그러한 과정이 필요 할 것 같습니다.
내 머리 길이는 나름 극과 극을 달려왔다. 고등학교 졸업까지는 이마에 난 점을 가리고 싶어서 머리가 엄청 길었고, 칠레에서 대학 입학 후 mechoneo 를 당하면서 머리를 싹 밀었는데 그게 너무 시원해서 계속 유지를 했다. 2002년부터 2012년까지는 내가 돈을 아낀다고 바리깡을 들고 내 머리를 빡빡 밀었다. 머리를 빡빡 밀면 그게 또 자랄때까지 시간이 꽤 많이 걸려서 자주 안 깎아도 된다는 점도 그렇게 한 이유 중에 하나였다.
중학교 때의 바가지 머리 (1997년경)
2002년 1월, 몇달째 이발을 미루다 깎기 전
밀고 다닐 때 (2009)
2012년에 머리가 큰 변화를 겪었는데 이건 순전히 오바마 탓이다.
오바마가 하도 선거에서 대박을 터트려서 오바마랑 아무런 관계가 없는 투표 참여 캠페인을 하던 내게까지도 영향이 가서 당시 우리가 했던 캠페인 중 가장 큰 규모의 선거 참여 캠페인을 하게 되었다. 자원봉사자가 50명씩이나 매일 저녁 사무실에 바글바글 모여 전화를 했고 55,000 명 전화, LA+OC 백프로 연락시도 달성, 8,000 명 연결 등 그때까지의 모든 자체 기록을 깼다. 대인과 나는 둘 다 1시에 출근해서 9시까지 일했고 오전에는 좀 쉬고 언론 홍보나 설명회, 자료 제작을 했다. 그러다보니 두달이 넘게 머리를 깎을 시간이 없었는데, 머리만 깎을 시간이 없었던 것이 아니라 수염도 깎을 시간이 없었다.
2011년 3월 시위
2011년 7월 트레이닝
2012년 1월 시위
4월 19일 캠페인 출범 기자회견
9월 10일 선거 활동 출범 기자회견
10월 7일 주민회의
이렇게 선거 시즌이 깊어가면서 머리도, 수염도 자라서 선거가 끝나자 머리를 물로 적셔서 한쪽으로 쓸어넘겨야 할 정도였다.
10월 16일 선거책자 기자회견
10월 24일 오번역 기자회견
11월 7일 투표율 기자회견
2013년 2월 수련회로 가는 중
본의 아니게 수염을 기르고 보니 이게 또 편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수염을 밀고 다니면 매일 매일 깎아야 티가 안 나지만, 적당히 길러두면 1-2주 정도 안 깎아도 잘 표시가 안 난다! 너무 편하다! 그래서 요즘은 머리는 이발소에서 1번 칼로, 수염은 면도기에 1.8mm 짜리를 씌워서 깎고 다니는 걸로 정리했다..
요즘 머리/수염 상태 (2016년 1월)
2012년을 전후해서 수염도 머리도 기르기 시작하니까 주변 사람들이 용호가 무슨 대단한 결심을 했나, 외모 변화를 시도하기로 했나 궁금해한다.
한미은행의 온라인 UI 라는걸 처음 들어가봤는데 메뉴가 반투명이고 인터랙션이 부드러워서 첫인상이 매우 좋았다
특히 계정 알람 기능이 있는데 의외로 옵션이 준 IFTTT 급으로 많아서 깜짝 놀랐다. 히야 기술력 좋은데?
근데 첫 알람을 받아본 순간 그 인상은 바람과 함께 사라졌닼ㅋㅋ
이게 어떻게 알람 기능이냐고 그냥 민폐지.. 알람 이메일에 내가 기대하는 거는, 예를 들어 은행 거래가 이루어질때마다 알람을 받기를 원한다고 하자. 그러면 당연히 거래의 액수나 거래 내역 정도는 알람에 나와야 할 것 아니냐고.. 백보 양보해서 금융 보안상 그건 안된다고 하자. 그러면 하다못해 내가 설정해놓은 알람의 이름 정도는 알려달라고 이 무슨 쓰레기 같은 알람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