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techie

  • 미디어몹 버그 잡이 릴레이 9문 9답

    본 온라인 설문지는 2004년 초 문을 연 인터넷 문화 사업 블로그 회사 미디어몹 (mediamob.co.kr ) 에서 제공하는 블로그 서비스의 코드 상 현존/과존하던 버그들에 대한 범사회적이며 지극히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함으로서 버그에 대한 의식화를 꾀하며 일차, 이차 그리고 삼차 개편 공사에도 불구하고 내부 불안정 (스텝진 교체 등) 및 외부 정세의 급변 (박근혜발 헤딩라인 공중파 금지등)에 기인해 꾸준히 고개를 빳빳히 쳐들고 있는 벌레들을 일상의 일부로, 수동적으로 받아들일 것이 아니라 유저들을 일차대전의 보병 마냥 적군의 참호로 내몰아 취약점을 확인함으로서 서비스의 전반적 보정을 꾀하는 gmail.com 스러운 전술 구사에 첫 걸음이 되고자 한다.

    1. 미몹에 가입하고 나서 처음 목도한 미디어몹 버그를 기술하시오.

    2. 내가 만일 _____ 라면 ____, ____, 그리고 _____ 등의 버그를 _______ 할 것이다.

    3. 멀쩡한 기능이었는데 리뉴얼 중 신규 기능을 도입함으로서 합병증으로 도져버린 버그를 기술하시오.

    4. 이런 버그는 요로코롬 손을 조금 보면 되는데 미몹팀은 여태 뭐하고 있었는가! (버럭) 나태한 웹마스터는 각성하라! 각성하라!

    5. 가장 자주 보게 되는 버그는?

    6. ______________가 예고도 없이 ____________ 되버리는 버그는 가만히 두면 잘만 뜰 미디어몹 가입자 수에 악영향을 끼쳤다. 사업팀은 알아서 기술팀이랑 협력하라.

    7. 칠번은 미몹 에디터의 버그 땜에 입력이 먹통이 되었다. 엔터를 누르니 다음 번으로 내려가더라.

    8. ___________________ 버그 때문에 이제 ____________________ 하다.

    9. 삽십분 동안 쓴 댓글이 날라갔다던지 뭐 그런 순전히 미디어몹 기술팀의 부주의에 의해 발생한 불상사를 기억나는데로 고자질하시오.

  • 경쟁 상대가 아닌가벼

    경쟁 상대가 아닌가벼

  • 트랙백 구현 가능

    트랙백.. 보낼 수 있습니다. 얼마나 똑똑한지 해당 포스트에 링크만 걸어도 거기 웹을 검색해서 RDF 관련 구절을 찾아낸 후 자동으로 핑백을 쏴주는 옵션도 있습니다. 단지 남조선 블로그 서비스들은 인코딩을 EUC-KR를 사용하여 요것과 워드프레스 기본인 UTF-8 사이에 호환성 문제가 조금 있지만… 요 패치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http://www.windlike.net/blog/?p=4

  • 한글 워드프레스 (WordPress) 써보세요

    개울님과 fidesmea님이 워드프레스 (WordPress)에 대한 관심을 표현하고 계시지만, (비교적 높은) 진입 장벽 때문에 망설이고 계시답니다.

    시험용 한글 워드프레스를 공개합니다.

    http://cactuspais.uni.cc 로 가셔서 다음의 정보로 로그인 하시면 됩니다.

    id: admin
    password: tlgjadyd (“시험용”을 영어 자판으로)

    망가뜨려도 괜찮으니까 마음껏 글 쓰기, 트랙백, 링크 걸기 기능 및 플러그인을 시험해보세요.

    (더 보기…)

  • 포털구글

    구글이 포털화를 향한 수줍은 첫 걸음을 내딛었단다. 2005년 3월 19일 aaltonen.us 가 보고 했는데 왜 여태 남한에서는 말들이 없었지? 구글매냐들이.

    http://google.com/ig

    우선, drag & drop기능은 작동하지 않는다. aaltonet이 지적한대로 custom RSS feed 가 가장 시급한 문제다. 근데 이 친구가 두개월 전에 올려놓은 글의 내용과 지금의 구글 포털 내용은 많이 바뀌지 않은것 같다. 박사 하나당 프로젝트 하나인가. 와 이리 프로젝트가 많노.

  • 검색 단어에 미안할 까지야

    자기 자신의 구글 검색 행태를 생각해보자. 내년에 여는 학술회에서 교수를 초대할 생각을 가지고 그에 대한 인적 사항을 연락 전 확인한다고 하자.

    "아무개 교수"

      관계 없는 사람들이 줄줄 나온다. 특히 동명의 모 블로거가 있는데 저 넘이 아주 인기 있기가 있어서 검색에 방해가 된다. 서너개 링크 클릭 해본 후 포기. 그렇담 "아무개 교수" -site:블로거사이트도메인 으로 찾아본다. 정말 빨리 찾아야 한다면 "교수이름" + 소속 기관으로 하면 금방 나오지만 그렇다면 조금 변경에 속하는 자료는 놓치게 된다. 하여튼 이래서 링크를 서른개 가량 훑어본 후 두새개를 자료로 추출해서 따로 보관한다. 뭐 del.icio.us 든지 위키이든지.

     이렇게 되면 내가 방문한 모든 사이트에는 내가 사용한 검색어가 남게 된다. 그 서너개 사이트 주인들이 다 자신의 사이트 검색 로그를 보곤, "아, 우리 사이트에는 모 교수 관련 정보가 없구나.. 미안하다. 나중에 조금 실어줄까?" 이런 고민을 할 것 같나? 검색하면서 비관련 정보는 수시로 접하는 것이다. 도서관에서 주제별로 찾아도 엉뚱한 것을 마주치는 데 검색엔진이라고 낮겠나.

     모로 검색 단어는 쭉 훑어보고 아, 이렇구나, 하고만 넘어가자. 방문자는 당신의 사이트에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못 찾고 브라우저를 닫은 후 모 구석으로 울러 간 것이 아니다. 당신의 검색단어, 몇 마이크로 초 안된다.

  • Google Server 502 Error

    Google Error: 502 Server Error502 Server Error

    oh my google.

    I tried retrieving the HTML code of the error screen as a proof, but unfortunately FireFox seems to “reload” the page when I click on “View Page Source” and thus shows the normal page, not the error message I managed to capture.

    아주 짧은 찰나, 구글이 다운되었다. 증거로 에러 페이지의 HTML 코드를 추출하여 올려두려고 했지만, 불여우를 쓸 경우 “View Page Source”를 누르면 현재 보이는 페이지의 소스를 보이는 것이 아니라 다시 페이지를 검색하여 소스를 보이기 때문에 코드를 추출할 수가 없다.

  • 불여우 1.03 업글 나오다 (영문)

    가서 받으시라. 오늘 나왔단다. 참 바쁘게도 패치를 돌린다. 99년 동안 한달에 한번 꼴로 윈도98/IE5 보안 패치 나오던 것 구경하던것 같아서 감회가 새롭다. 이번 업글 별것은 아니고 보안 기능을 몇개 추가했단다.

    한글 버전은 아직 번역이 마무리 되지 않았나 보다. 쪼끔 기다리시면 되겠다.

  • 위키피디어 검색기능 복구

    wikitech: Lucene on the server, with searches

    한동안 중단되었던 위키피디어 검색 기능이 복구되었다. 데이터베이스가 방대해지면서 기술적으로 미디어위키 프로그램이 제대로 받쳐주지 못하는 모양이다. 그런데 급하다고 야후와 제휴하다니… (likejazz님의 상황 분석)적어도 토론페이지에서는 맹비판이 거세다. (특히 “야후는 개인정보 관리에 인색하다”라는 코멘트가 하이라이트) 하여간 불여우 검색 플러긴을 통해서 한단계 건너뛰고 검색하는 기능도 복귀.

  • 아이피 차단

    다음의 IP 주소를 막다.

    218.232.150.31 M-MQBE90IU3IBLA
    211.239.119.219

    둘다 KRNIC 소속인데, 뭐하는 봇인지는 모르겠지만 이미지 하나 없는 사이트에서 (간간히 올라오는 그림은 외부 서버) 3월동안 발생한 600MB 트래픽 중 220MB 를 잡아먹었다. 아무래도 한국발 검색 봇 같은데, (뭐 Daum이나 엠파스 같은 그런 넘들) 매너도 없는 놈이 robots.txt 도 안 지키고. 그나마 고정 IP 라서 간단히 잡지. 동적으로 퍼지기 시작하면 다시 APNIC WHOIS 를 써서 주소 범위를 알아본후 죄다 막아버리면 된다.

    한달 대역폭이 1GB 라서 200MB라도 쉽게 내줄수가 없단 말이야. 정보통신 강국은 니네끼리나 해라.

이 사이트는 wpml.org에 개발 사이트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remove this banner의 프로덕션 사이트 키로 전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