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techie

  • 트랙백 구현 가능

    트랙백.. 보낼 수 있습니다. 얼마나 똑똑한지 해당 포스트에 링크만 걸어도 거기 웹을 검색해서 RDF 관련 구절을 찾아낸 후 자동으로 핑백을 쏴주는 옵션도 있습니다. 단지 남조선 블로그 서비스들은 인코딩을 EUC-KR를 사용하여 요것과 워드프레스 기본인 UTF-8 사이에 호환성 문제가 조금 있지만… 요 패치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http://www.windlike.net/blog/?p=4

  • 한글 워드프레스 (WordPress) 써보세요

    개울님과 fidesmea님이 워드프레스 (WordPress)에 대한 관심을 표현하고 계시지만, (비교적 높은) 진입 장벽 때문에 망설이고 계시답니다.

    시험용 한글 워드프레스를 공개합니다.

    http://cactuspais.uni.cc 로 가셔서 다음의 정보로 로그인 하시면 됩니다.

    id: admin
    password: tlgjadyd (“시험용”을 영어 자판으로)

    망가뜨려도 괜찮으니까 마음껏 글 쓰기, 트랙백, 링크 걸기 기능 및 플러그인을 시험해보세요.

    (더 보기…)

  • 포털구글

    구글이 포털화를 향한 수줍은 첫 걸음을 내딛었단다. 2005년 3월 19일 aaltonen.us 가 보고 했는데 왜 여태 남한에서는 말들이 없었지? 구글매냐들이.

    http://google.com/ig

    우선, drag & drop기능은 작동하지 않는다. aaltonet이 지적한대로 custom RSS feed 가 가장 시급한 문제다. 근데 이 친구가 두개월 전에 올려놓은 글의 내용과 지금의 구글 포털 내용은 많이 바뀌지 않은것 같다. 박사 하나당 프로젝트 하나인가. 와 이리 프로젝트가 많노.

  • 검색 단어에 미안할 까지야

    자기 자신의 구글 검색 행태를 생각해보자. 내년에 여는 학술회에서 교수를 초대할 생각을 가지고 그에 대한 인적 사항을 연락 전 확인한다고 하자.

    "아무개 교수"

      관계 없는 사람들이 줄줄 나온다. 특히 동명의 모 블로거가 있는데 저 넘이 아주 인기 있기가 있어서 검색에 방해가 된다. 서너개 링크 클릭 해본 후 포기. 그렇담 "아무개 교수" -site:블로거사이트도메인 으로 찾아본다. 정말 빨리 찾아야 한다면 "교수이름" + 소속 기관으로 하면 금방 나오지만 그렇다면 조금 변경에 속하는 자료는 놓치게 된다. 하여튼 이래서 링크를 서른개 가량 훑어본 후 두새개를 자료로 추출해서 따로 보관한다. 뭐 del.icio.us 든지 위키이든지.

     이렇게 되면 내가 방문한 모든 사이트에는 내가 사용한 검색어가 남게 된다. 그 서너개 사이트 주인들이 다 자신의 사이트 검색 로그를 보곤, "아, 우리 사이트에는 모 교수 관련 정보가 없구나.. 미안하다. 나중에 조금 실어줄까?" 이런 고민을 할 것 같나? 검색하면서 비관련 정보는 수시로 접하는 것이다. 도서관에서 주제별로 찾아도 엉뚱한 것을 마주치는 데 검색엔진이라고 낮겠나.

     모로 검색 단어는 쭉 훑어보고 아, 이렇구나, 하고만 넘어가자. 방문자는 당신의 사이트에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못 찾고 브라우저를 닫은 후 모 구석으로 울러 간 것이 아니다. 당신의 검색단어, 몇 마이크로 초 안된다.

  • Google Server 502 Error

    Google Error: 502 Server Error502 Server Error

    oh my google.

    I tried retrieving the HTML code of the error screen as a proof, but unfortunately FireFox seems to “reload” the page when I click on “View Page Source” and thus shows the normal page, not the error message I managed to capture.

    아주 짧은 찰나, 구글이 다운되었다. 증거로 에러 페이지의 HTML 코드를 추출하여 올려두려고 했지만, 불여우를 쓸 경우 “View Page Source”를 누르면 현재 보이는 페이지의 소스를 보이는 것이 아니라 다시 페이지를 검색하여 소스를 보이기 때문에 코드를 추출할 수가 없다.

  • 불여우 1.03 업글 나오다 (영문)

    가서 받으시라. 오늘 나왔단다. 참 바쁘게도 패치를 돌린다. 99년 동안 한달에 한번 꼴로 윈도98/IE5 보안 패치 나오던 것 구경하던것 같아서 감회가 새롭다. 이번 업글 별것은 아니고 보안 기능을 몇개 추가했단다.

    한글 버전은 아직 번역이 마무리 되지 않았나 보다. 쪼끔 기다리시면 되겠다.

  • 위키피디어 검색기능 복구

    wikitech: Lucene on the server, with searches

    한동안 중단되었던 위키피디어 검색 기능이 복구되었다. 데이터베이스가 방대해지면서 기술적으로 미디어위키 프로그램이 제대로 받쳐주지 못하는 모양이다. 그런데 급하다고 야후와 제휴하다니… (likejazz님의 상황 분석)적어도 토론페이지에서는 맹비판이 거세다. (특히 “야후는 개인정보 관리에 인색하다”라는 코멘트가 하이라이트) 하여간 불여우 검색 플러긴을 통해서 한단계 건너뛰고 검색하는 기능도 복귀.

  • 아이피 차단

    다음의 IP 주소를 막다.

    218.232.150.31 M-MQBE90IU3IBLA
    211.239.119.219

    둘다 KRNIC 소속인데, 뭐하는 봇인지는 모르겠지만 이미지 하나 없는 사이트에서 (간간히 올라오는 그림은 외부 서버) 3월동안 발생한 600MB 트래픽 중 220MB 를 잡아먹었다. 아무래도 한국발 검색 봇 같은데, (뭐 Daum이나 엠파스 같은 그런 넘들) 매너도 없는 놈이 robots.txt 도 안 지키고. 그나마 고정 IP 라서 간단히 잡지. 동적으로 퍼지기 시작하면 다시 APNIC WHOIS 를 써서 주소 범위를 알아본후 죄다 막아버리면 된다.

    한달 대역폭이 1GB 라서 200MB라도 쉽게 내줄수가 없단 말이야. 정보통신 강국은 니네끼리나 해라.

  • 다중언어 끄적임를 위한 부치개 둘 – is_lang($언어)

    조건형 태그의 형태로 사용되는 is_lang(). 가로 사이에 원하는 언어를 넣어주면 된다. 예전에 개발한 lang(‘$castellano’, ‘$한족어’, ‘$english’, ‘etcétera’); 의 경우 ‘ ‘ 사이에 php 태그를 못 집어넣는 한계를 상쇄하기 위해 개발.

    (더 보기…)

  • 분석은 왜 지루하지 않은가: 기술 외교관

    Hypercortex 님의 [온라인 커뮤니티: 지루한 분석들] hypercortex.net/tt/index.php?pl=362 에 나름대로 “반론”을 제기하려다가.. 다시 글을 읽으며 맥락을 파악해버렸습니다 -.- 어쨌든 트랙백 합니다.

    글 중 부분 인용

    어떤 형태로든 온라인 커뮤니티에 몸담고 있는 사람들 중에서는 자신이 겪고 있는 이 현상을 언어화하고 싶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블로거들도 많은 경우 블로그를 통해 경험하는 새로운(?) 네트워크 또는 커뮤니티를 설명해내고 싶어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책을 많이 읽은 사람들에게는 같은 서사의 반복이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고, 결국은 5분 정도 흘낏 보아도 그 요지가 모두 파악되어 버리는 결과를 낳게 되죠
    (……)
    어쨌든 위와 같이 ‘매뉴얼’처럼 짜여진 분석틀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은 더이상 불가능합니다. 쓰는 사람도 지루하고, 읽는 사람도 지루할 것이라고 봅니다. 사실은 요즘 저런 글들을 너무 많이 보아서 제발 좀 그만 쓰라고 말하고 싶은 심정.

    저거를 가지고, 처음에는 “블로거들 자체 분석 그만 좀 해라” 로 읽었다가, “요즘 왜 그렇게 쓸모 없는 책이 나오냐”라고 파악이 됬습니다. 머, 컴퓨터 관련 출판은 원래 한심하지 않았습니까?

    여하튼, 블로거들 자체 분석 그만 해라에 대해서는 계속 계속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 이건 펌질과 링크 이야기에도 관련이 있다고 보는데요,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사람에게서 때어내서 받아들일수 있는가, 아닌가에 관련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내가 A 라는 정보를 전하고자 할 때, A 가 나라는 맥락을 떠나서도 의미가 있는가 아닌가 한는 문제. 맥락을 떠나면 의미가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이 부분은 많은 분들이 동의하는 것 같지만, 결론이 “맥락이 달라짐으로서 펌질하면 안된다” 로 가는 것 같더군요. 맥락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가 더욱 풍부해지는 것으로 인식 할 수는 없을까요? 뉴스 매체 A 에서 작성된 기사가 블로거 B의 펌질에 의해 매체A를 방문치 않는 독자 C와 D에 의해 다시 소화되고 어떤이들은 원 기사를 찾아가 토론에 참여하고, 그리고 다시 돌아와서 펌글의 여백에 글을 끄적이면서 더욱더 풍부한 맥락이 씌여진다는 말이지요. 딴지 일보에 이런 글이 한번 올랐던 것 같은데 (펌질의 정치학이라나..) 못 읽었음으로 무효 -.-

    아거님은 블로그와 독자 관여라는 글에서 “이슈 관여” 와 “자아 관여”를 구분하시는데, 그러한 주장이 옛 글 “언론과 블로그의 차이: 기능적 접근“과 상치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두 가지 관여의 차이점은 내용과 (이슈) 맥락 또는 블로거 (자아) 의 분리를 전제로 하는데, 그러한, 기사가 탈맥락화되는 현상이야 말로 저널리즘에서 강조하는 “객관성과 중립성”이 아닙니까?

    본론으로 돌아와서 신기술을 꼼꼼하게 분석하며 글을 쓰는 사람들도 중요하지만 그러한 발견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며 다시 현상을 재해석하고 자신이 속해있는 소규모 공동체에 (온라인이라든지, 지인이라든지) 개념을 가져오는 일종의 기술문화적 외교관의 기능은 필요한것이 아니겠습니까?

  • 테터, 라이브저널과 미디어몹에서 XML 을 이용해서 워드프레스로 옮기는 방법

    두달전에 이용한 반자동 마이그레이션. 각각의 블로그에 약 100-300개정도의 글이 있다고 가정한다. 더 많으면 손꾸락이 아프다.

    본 방식으로 보존되는 것: (XML에 포함)
    ㄱ. 글 내용
    ㄴ. 글 날짜, 제목

    옮겨지지 않는 것 (XML에 비포함/비호환)
    ㄷ. 글 분류
    ㄹ. 방명록
    ㅁ. 답글, 먼댓글

    참고: Movable Type, b2, Greymatter, Textpattern, Livejournal, Radio Userland, b2 evolution 을 위한 마이그레이션 툴은 여기 있다. codex.wordpress.org/Importing_from_other_blogging_software 내가 라이브저널에서 마이그레이션 할때는 이런 것이 있다는 줄 몰랐다.

    여제상 본인의 웹사이트를 쓴다.

    http://livejournal.com/users/yonghokim
    http://yokim.net/tt/
    http://mediamob.co.kr/yonghokim

    1. XML 화일을 뽑는다.

    http://www.livejournal.com/users/yonghokim/data/rss
    http://yokim.net/tt/index.xml
    http://mediamob.co.kr/yonghokim/rss.aspx

    이 파일을 하드에 저장한다.

    보통 XML 화일당 글 10개 정도로 갯수가 정해져 있다. 테터는 30개까지 확장할수 있음. 관리자 화면을 찾아 보시라.

    2. 일단 10개 또는 30개를 뽑으면, 해당 글을 지운다. 라이브저널은 UI 프로그램가지고 상당히 빠르게 지울수 있으니 이점 참고하시라. livejournal.com/download

    3. 다시 1번으로 되돌아가서 XML 화일을 뽑는다. 옛 화일이 보이면 CTRL+F5 로 강제 새로고침. 그러면 그 다음 30개 또는 10개 글이 나온다. 글이 다 지워질때까지 단순 반복.

    3.ㄱ. 꼼수를 잘 부리면 이렇게 해서 나온 열개가량의 XML 화일을 하나로 합쳐버릴수 있을지도 모른다. 단, 태그를 잘 보시고 수정하시라.

    4. 인코딩을 결정. EUC-KR 로 계속 갈 생각이라면 테터와 미디어몹은 그대로 두고, 라이브저널을 UTF-8 에서 EUC-KR 로 바꾸어야 함. 만약 UTF-8 방식으로 전환할 생각이라면 그 반대의 작업 수행.

    4.ㄱ. 변환 작업은 이것을 사용했다. …biglobe.ne.jp/~harigaya…

    4.ㄴ. 변환 후에는 꼭 첫줄의 encoding=”euc-kr” 을 변환 후의 인코딩에 맞게 수정. utf-8 는 encoding=”utf-8″ 임.

    5. 다음의 화일을 수정해서 XML 화일 경로를 차례대로 넣어준다. http://설치폴더/wp-admin/import-rss.php

  • 기왕 지울것이면 확실히 지웁시다.

    n님이 j님에게 짐짓 쌈걸기를 시도한 글을 보고 하는 말입니다. 모n님은 그것을 지우셨지만 (혹은 비공개로 전환하셨지만) 그것은 제 RSS 리더기에 그대로 남아아있습니다. 중도에 대한 일갈, 잘 읽었습니다 (훗)

    요즘 음반저작권법 시행 하며, DaumRSS넷등 여러 이유로 글을 지우는 분이 많이 생겨나셨습니다.

    글을 제대로 지우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절!대!로! 글을 직접 지우시면 안됩니다.

    지우는 순간, 온갖 검색엔진, 수집기, 아카이브기들은 “페이지가 없습니다”란 뜻의 404 에러를 (404가 맞나?) 받아서 마지막 버전을 간직합니다. 더 이상 넷상에 존재하지 않는 정보는 그 이유만으로 더 큰 가치를 지닐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죠.

    글을 수정하셔야 합니다.

    글을 열어서, 예를 들어 “본 글은 삭제 되었음”이란 한줄로 대체하세요.

    그러면 다음번에 구글, Bloglines, 등의 수집기가 님의 RSS피드 또는 웹 화일을 검색할때, 글이 “바뀐”것을 탐지하고는 자신의 데이타베이스를 그에 맞게 “수정” 할 것입니다.

    그것으로 끝입니다. 두 페이지 짜리의 글이 한줄로 교체되었습니다. 님의 글은 지워졌습니다.

    글 지울땐 제대로 좀 지웁시다.

이 사이트는 wpml.org에 개발 사이트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remove this banner의 프로덕션 사이트 키로 전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