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Yongho Kim 김용호

  • "가끔, 새로운 제품이 우리 제품과 경쟁하러 뛰어나온다구요"

    저거 읽다가 마시던 물을 뿜을 뻔 했음;

    “Any time someone creates a new piece of software for the Windows platform, it’s great,” says Gary Schare, director of product management for Windows. “Occasionally, a new application competes with one of ours.”
    Josh McHugh, the FireFox explosion.
    wired.com/wired/archive/13.02/firefox.html?pg=2&topic=firefox&topic_set=

    제보: likejazz.com/29577.html

    근데, 우리 학교에는 이번에 시스템 업글하면서 불여우만 깔았다.. 익스는, 음, 아예 안 보여. 데스에서도 안 보이고, quick links 에서도 안 뜨고. 스타트 메뉴에서도 안 뜨고. 완전 불여우 독점 체제;;

    그런데 디폴트로 설정되어있다. 어딘가 이멜 같은 곳에서 클릭하면 뜸. 시스템관리자에게 이멜 띄워서 디폴트로 설정하라고 해야쥐. 흐흐

  • 위키의 위력에 새삼 놀라다.

    위키.. 미디어 위키를 설치했다. ( wikipedia.sourceforge.net )

    함 써보았다.

    주여

    orz

    너무 흥분해서 잠이 안와.. T.T

    밤샐까

  • [싸움 붙이기] 저작권 주장하는 게 웃기다고? 지랄하고 있네.

    저런 개새끼를 보았나

    Korean Bloggers are Funny [한국 블로거들 이상하다]
    weblog.xfiniti.com/ceo/613
    Doug Yeum | 염동훈
    Xfiniti Korea , CEO

    (중략)
    I really hope all these blogggers who are talking copyright issues are not being hypocritical. I hope these people have never downloaded a MP3 file via P2P application. I hope these people have never copied (펌) content from a news site or other blogs to their own blogs. I hope these people can honestly say that they have not broken any copyright laws.

    의역: 저작권에 대해서 왈가불가 하는 블로거들이 위선적인 행태를 보이고 있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그들이 한번도 MP3 화일을 p2p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받았겠나? 그들은 뉴스 사이트나 타 블로그에서 펌질을 한번도 안 했기를 바래. 그들이 말야, 정직하게 자신은 저작권법을 한번도 어긴 적이 없다고 바래.

    If you really don’t want to share your content with the public, then do not offer RSS feeds. If you use a hosted blogging service from one of the major portals in Korea, such as Paran, Naver, Empas, Yahoo, etc., then complain to these portals and ask them to not offer RSS feeds. But in my humble opinion, you will be the one who is losing out by doing this.

    의역: 너네들이 정말로 공공과 자료를 공유하기 싫다면은, 그럼 RSS 를 내놓지 않으면 될 것 아니냐. 가입형 블로그를 쓴다면, 그들 보고 RSS 를 제공하지 말라고 때 쓰면 될 것 아니냐. 내가 겸손하게 보건데, 이런 짓을 함으로서 손해보는 쪽은 너네야.
    (후략)

    ( 25일자 추가: Evelina 님의 번역. blog.daum.net/evelina/1196593 )

    저 거만한 자세와 엉터리 논지를 자세하게, 항목 항목 마다 따져가며 씹어줄 시간이 없어서 안타깝다.

    야, 야, 염 동 훈.

    Fair Use 라는 것도 모르냐? 뉴스 사이트에서 펌질을 하는 것은 저작권과 상관없다. 불법이 아니야. p2p 라고? 거대 음반 제작사가 영리적 활용을 목적으로 음악돌리는 것을 보호하기 위한, 말하자면 순수한 자본 게임인 법을 어기는 것과, 글이 펌질 당하던 안 당하던 수익은 안 나오는, 글에 정성을 쏟아 창작물을 만들어내는 개인과 일대일 비교가 되냐?

    너 왜 한글 메타 사이트에 등록이 된 블로그에서, 한글 쓰는 블로거들을 겨냥해서 (저기 위에서 “너희들” 이라고 하지 않았냐?) 뻔히 한글이 되는 놈이, 영어로 글을 써서 비꼬는 거냐? “펌질 한번도 하지 않았길 바란다”, “저.. 미안하지만, 조땟네요” 라며 실실 약올리는 행태는 뭐냐?

    RSS 는 하나의 기술 품목이다. 예를 들어 채찍이라고 하자. 채찍을 말 타는 데 쓰던지, 응응하는데 쓰던지, 남이 무슨 참견이냐? 쓰면 된 것 아니냐?

    블로그 라는 기술이 완전 공개라는 특수한 목적이 있어서 그 용도 말고 다른 것에도 (예를 들자면 폐쇄적 개인 홈페이지) 쓰게 해달라고 항의 하는데, 왜 실실꼬냐? 상품이란 것은 소비자가 지 꼴리는 데로 사용하고 그렇게 수요가 올라가는 방향으로 시장이 생기는 건잖아. 사람들이 나름대로 정보 공개 기술의 사회적 의미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 하며 토의를 벌이는데, 넌 너만의 결론이 있다고 토론 자체를 묵살하는 그 고고함은 어디서 나온 거냐?

    [첨가]: 아 참, 그리고, 이 문제를 개인의 문제로 국한시키지 마라. 이건 구조적인 문제다. 개인 사용자 100명만 불편하다고 달랑 서비스 거부해두면, 그 다음에 생기는 초보자 1000명은 또 같은 문제를 겪을 것 아니냐? 전두환이 언론 탄압해서 신문사가 항의하면, 그러면 외국 가라고 그럴거냐? 고칠 건 고쳐야 되는 거다.[/첨가]

    주장을 하려면 주장만 해라. 사람 비하 하지 말고. 난 왜 너보고 욕설을 퍼부냐고? 그래, 나 잘못했다. 고소해라. 필요하면 주소도 줄께. 됬냐?

    왜 반말 하냐고? 넌 영어로 썼잖아? 영어에는 격이 없지. 암, 나도 격 없이 쓴다.

    김용호
    yonghokim82@hotmail.com

    추신: 트랙백 주소 내놔라. 안 보인다.

  • UTF-8 으로 트랙백을 보내본 경험. 기록.

    남한의 모든 가입형 블로그는 EUC-KR 을 쓴다. 사실 더 근본적인 문제는 EUC-KR 도 지정하지 않고 “어차피 한국 사람은 한글 보지 않나?” 하며 어벙벙 하게 웹사이트 만드는 사람도 (아직) 있긴 하다.

    딴지 같은 곳에서 각각의 글에 오른쪽 클릭 -> E (ncoding) -> M(ore) -> K(orean (EUC-KR)) 을 지정하려면 손가락 운동이 열심히 된다.

    그래서 UTF-8 를 쓰면 욕 본다.

    트랙백을 보내면…

    미디어몹: 티도 안 난다
    테터: 마찬가지
    네이버: 왕창 깨진 글이 뜨지만 링크가 걸린다 (!!!!!)
    이글루: 뭔가 쓰레기가 하나 뜬다. 클릭해보면 이글루 트랙백 센터로 가고, 거기서는 원 글의 흔적을 찾을 길 없다.

    마이너 블로거의 설움이란.

    일단 요걸 찾아내다.

    OneBand. 개편의 발목을 잡다. 네이버 블로그 유감.
    http://oneband.80port.net/2004/11/01/132/

  • Daum RSS넷 논쟁에 대한 기술적 고찰: 저작권물 내용 변형

    밀피유님은 [자신의 웹컨텐츠의 사용범위에 대해 생각해보기] neoocean.net/blog/index.php?pl=649 에서 RSS 라는 새로운 배달 방식은 기존의 HTML에 기반한 웹과는 다른 차원의 것이니 저작권 보호를 다르게 해석해야 한다 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제가 해독하기론 그렇습니다.

    제가 이해 한 밀피유님의 의견에 반대합니다.

    반론 요약:

    RSS는 정보 전달의 더 효율적인 방식이지 원천적으로 다른 (저작권의 재해석을 요구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그리고 컨텐츠의 재가공과 변형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다음RSS넷은 현재의 인터페이스를 RSS에서 제공되는 모든 내용물 (메타태그까지 포함해서)을 표시하도록 변경해야 합니다.

    (더 보기…)

  • Wikipedia

    예전에 졸업이 달린 에세이 Strategic repositioning within academia:arguing for the statement that Cultural Anthropology belongs to the humanities and not to the social sciences b.yokim.net/54/ 에서 위키피디어를 대거 (?) 인용 한 나로선 훅! 찔리는 글이네. 나름대로 권위를 주기 위해 브리태니커도 뒤져보기는 했지만, 아무래도 내가 지양하는 critical cultural studies 쪽은 브리태니커 의 인문 설명에선 코드가 안 맞는 쪽이 많아서. 교수님은 어떻게 보셨을까, 듣도 보도 못한 (젊긴 하지만.. 아마도?) 백과사전을 인용하는 것을. 전문가 의견이라는 것, 거 참 어려운 문제.

    리드미 파일 링크 보고 따라갔음. (리드미님 닉이 블로그 이름이 되니 걍 “리드미 파일” 이라고 불러도 안 잡힐것 같아 좋다.

    Wikipedia Faces Growing Pains
    By Daniel Terdiman
    wired.com/news/culture/0,1284,66210,00.html?tw=rss.CUL
    02:00 AM Jan. 10, 2005 PT

    To academics like Danah Boyd, a graduate student and instructor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that is precisely the problem: Wikipedia, for all its breadth of coverage, cannot claim that each and every one of its entries meets any bottom-line standard for accuracy.

    “Usually there’s only one or two people involved in writing the entries,” Boyd said, “and you don’t know anything about who they are.”

    To Boyd, who said she finds the project “an exceptionally valuable tool,” the problem is that while some entries, particularly those about technology, are well-read and edited by many community members, countless others have received little or no scrutiny.

    “Guess what?” Boyd said. “A lot of ancient-history specialists? They’re not online, let alone involved in Wikipedia. But a lot of students are going to Wikipedia for information on ancient history.”

    …………..

    former Wikipedia developer Lawrence Sanger addressed a litany of problems with the project.

    In some Wikipedia areas, “academics and experts of all sorts generally are not accorded any sort of special respect by some Wikipedians,” Sanger told Wired News. “If someone is made to defend his or her contribution by some crank, or a troll, the rest of the community, generally speaking, will not come to the defense of the expert.”
    ….
    And that’s a problem, Sanger believes, in trying to build a large, well-respected resource.

    “There needs to be some sort of deference to expertise,” he said. “I think the managers of Wikipedia need to be creative about how this sort of problem can be sol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