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yonghokim

  • #Baccano 라는 애니메이션을 보고 있습니다 영상립에 영어 자막이…

    #Baccano 라는 애니메이션을 보고 있습니다. 영상립에 영어 자막이 같이 딸려왔는데, 이걸 보면서 역시 일본 애니메이션의 영어 자막에는 한계가 있는게 아닐까 생각하게 됩니다. 아래 이미지들은 그 예시인데, 원어가 뭔지는 몰라도 “흐름을 탄다”라는 표현을 옮기지 못해서 직역을 해버린 케이스입니다. 그 밖에 삼국지의 주역을 “조조와 유비 그리고 호쿠사이”라고 얼버무리는 미니개그 감각이 전달이 안 될 것 같다라던지 (설마 영어권 애니 수요층이 삼국지를 알지는 않겠지!).. 이점에 대해서는 한번 설파한적이 있는데 다시 생각해보면 한국어 문화권은 일본 문화를 향유하기에 타고난 지리적 조건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질적으로 느껴질만큼 떨어져 있지만 다른 문화권들과 비교했을 때 가장 인접해 있기 떄문에 뉘앙스나 맥락 같은것을 쉽게 캐치할 수 있기 때문에..

    그건 그렇고 조조는 SouSou 가 아니라 CaoCao 가 아니였나?

     

  • #Baccano  라는 애니메이션을 보고 있습니다. 영상립에 영어 자막이 같이 딸려왔는데, 이걸 보면서 역시 일본 애니메이션의 영어 자막에는 한계가 있는게 아닐까 생각하게 됩니다. 아래 이미지들은 그 예시인데, 원어가 뭔지는 몰라도 "흐름을 탄다"라는 표현을 옮기지 못해서 직역을 해버린 케이스입니다. 그 밖에 삼국지의 주역을 "조조와 유비 그리고 호쿠사이"라고 얼버무리는 미니개그 감각이 전달이 안 될 것 같다라던지 (설마 영어권 애니 수요층이 삼국지를 알지는 않겠지!).. 이점에 대해서는 한번 설파한적이 있는데  http://www.reddit.com/r/anime/comments/1xpkv4/watching_sword_art_online_for_first_time_love_it/cfdhxhw?context=3 다시 생각해보면 한국어 문화권은 일본 문화를 향유하기에 타고난 지리적 조건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질적으로 느껴질만큼 떨어져 있지만 다른 문화권들과 비교했을 때 가장 인접해 있기 떄문에 뉘앙스나 맥락 같은것을 쉽게 캐치할 수 있기 때문에..

    그건 그렇고 조조는 SouSou 가 아니라 CaoCao 가 아니였나?

  • 파트타임으로 대학강사를 하며 시간을 내서 우리 단체에서 자원봉사하는…

    파트타임으로 대학강사를 하며 시간을 내서 우리 단체에서 자원봉사하는 일본계(Japanese American) 분이 있다 한국어 실력도 늘리고 자원봉사도 하고 있는데, 하루는 컴퓨터에 대한 질문을 하고 싶으시다고..

    • 네, 무슨 웹사이트가 윈도가 필요하다고 하는데요 (맥 노트북을 보여주심)
    • 음.. 정부 웹사이트인가요? 은행?
    • 국방부의 방송 인데요
    • 국방부가 방송을 해요?

    이분은 한국 드라마를 즐겨보시는데 세븐이라는 연예인이 군대에 입대를 해서 국방 선전 프로그램에 출연해서 노래를 부른다나 사회를 본다나..

    그래서 국방부 사이트로 가서 설치하라는 액티브 엑스를 깔려고 했더니 뜨는 에러 메세지.. 아이폰 앱도 있어서 설치를 해보았는데 이건 3분 마다 크래쉬 한다고..

    남한의 IT 보안 상황에 대해 간단히 설명을 해드리자, 이분이 상당이 당황해하신다. 떠듬떠듬 한국어로 “그럼.. 한국에는 맥 쓰는 사람 없어요?

    순진한 자원봉사자 멘붕시킨 보안업체 관계자 나와라..

    a0014909_4c7f9235a12b7

  • 타마코 마켓이라는 신작 애니가 나왔어요. 1화가 그렇게 재밌다는데, 줄거…

    타마코 마켓이라는 신작 애니가 나왔어요. 1화가 그렇게 재밌다는데, 줄거리를 한번 보기로 해요.

    항상 그랬듯이 부드러운 동작을 자랑하네요

    타마코 마켓 01.mp4_000031406

    변태새 등장이에요. 최대 개그 요소인만큼 시작하자마자 복선을 깔아주네요

    타마코 마켓 01.mp4_000052552

    (더 보기…)

  • 누구에게나 주어지는 “기회”의 사회 다시 되찾자

    민족학교 김용호 시민참여 코디 (한국일보 9-10-2012)

    미국에서 8월에서 9월까지는 학생 및 학부모들이 한참 바쁜 시기 중 하나이다. 초중고 학교 및 대학교들이 일제히 개학을 하기 때문이다. 스케줄이 방학 일정에서 학업 일정으로 바뀌고, 교육 용품을 준비하고, 수업 등록을 하는 철이다. 특히 학부모들의 경우 새 학년을 시작할 때마다 이유 모를 설레임과 함께 걱정 반 기대 반의 마음으로 자녀들을 학교에 보내게 된다. 새 반에는 잘 적응 할 수 있을까? 공부가 힘들지는 않을까? 이 설레임의 근원에는 교육이 학생의 미래에 큰 역할을 한다는 자각이 관여 되어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것에 중요시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의무 교육 제도는 평등한 사회 구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미국은 19세기 중반부터 의무 교육 제도를 추진하며 대대적으로 공립 초중고 교육 제도 및 주립 대학 건설을 추진했다. 20세기 초반에는 “효율주의자” 또는 “진보주의자”라 불리는 일련의 교육 사상가들이 교육이 민주주의의 건강한 발전을 뒷받침한다는 믿음을 가지고 교육 기관들을 대규모로 확충했다. 그 결과는 탄탄한 교육 제도와 이를 기반으로 한 중산층의 출현이었다. 아무리 가난하더라도 무료 교육을 받고 저렴한 공립 대학 과정을 이수하면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고 경제적으로 자립 할 수 있다는 것은 당 시대의 사회 구조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큰 변화였다. 이는 미국이 세계 각지 이민자들의 제 1번 행선지로 자리잡게 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교육의 평등, 나아가 기회의 평등은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표현으로 미국 사회에 하나의 가치관으로 뿌리 깊게 자리잡았다.

    물론 미국 역사에서 흑인, 여성, 한인을 포함한 소수민족이나 이민자에 대해 적대적 및 차별적인 정책 및 사회 분위기가 조성 될 때는 교육에 대한 기회 또한 가로막히곤 했다. 그러나 동시에 이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진 주민 및 정치인들이 차별을 철폐에 앞장설 때는 꼭 교육 평등, 다시 말해 교육에 대한 접근권이 핵심 이슈 중 하나로 등장하였다. 교육 제도가 평등해지는 것이 사회의 나머지 차별적인 부분들 해결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던 것이다.

    이렇듯 교육은 소수민족이자 이민자 뿌리를 가지고 있는 한인 커뮤니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근래 들어서는 학교로 돌아올 준비를 하고 있는 학생들 및 학부모들의 표정이 밝기만 하지는 않다. 만성이 되어버린 교육 예산 적자 때문이다. 2008년 이후 캘리포니아 주의 유아 교육 제도에서만 12억 달러의 예산이 삭감되고 10만명의 어린이들이 교육을 받을 기회를 놓쳤다.

    민족학교의 고등학생 자원봉사자 중 페어펙스 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이 많은데, 페어펙스 같은 공립 학교는 교사 부족으로 학생 수가 교실 당 50명까지 오르고 대학 카운셀러나 도서관 전담 직원을 고용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붕 수리나 파이프 시설 수리도 미뤄지고 있는 상태이다. 캘리포니아 전 주의 학교들이 이렇게 예산 부족으로 위기 상황이며 아예 교육 일자를 3주 줄이자는 제안도 고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예산 위기는 어디에서 나오는가? 교육 제도의 예산 위기는 주 전체의 예산 위기와 직결되어 있다. 캘리포니아 주 정부는 2012년 초 92억 달러의 예산 적자로 시작했다가 현재 157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고소득층, 특히 소득 기준 상위 2%에 속하는 최고 부유층의 탐욕 때문에 조세 제도가 해가 갈수록 어긋나고 있다. 이것은 탈세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조세 제도가 부유층에게 유리하게 만들어지고 매해 법 개정을 통해 부유층 및 대기업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세법이 바뀌는 것에 있다. 여기에 경제 위기의 여파마저 덮쳐 캘리포니아가 어려운 상황을 맞고 있는 것이다.

    캘리포니아 예산 연구소(CBP)에 따르면 소득이 상위 1%에 속하는 최고 부유층은 실제로 내는 세금 금액이 지난 10년 동안 11% 이상 줄어들었으나 저소득층 및 중산층의 세금은 늘어났다. 예산 위기를 맞아 교육과 복지가 삭감되고 있는 속에서도 부유층을 위한 특혜는 계속 되고 있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제리 브라운 주지사가 제시한 “상위 2% 증세 주민발의안”, 주민발의안 30번이다. 이 발의안은 일년 부부 소득이 50만 달러 이상인 고소득층의 세금을 1% 에서 3% 까지 올리고 판매세를 0.25% 인상해서 교육 제도와 복지 등 정부 예산을 원할하게 충원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우리의 교육 제도는 또 다시 예산 삭감을 감내 할 만한 상황에 처해 있지 않다. 부유층은 사회에서 얻은 만큼 책임있게 세금으로 환원하는 것이 이치이며 모두가 함께 상생하는 방법이다. 우리의 미래가 여기에 달려 있다. 교육과 복지를 지켜내고 사회에서 누구나 성공 할 수 있는 기회를 제도적으로 유지할 것인가, 아닌가의 문제이다. 11월 선거에서 우리의 투표는 이처럼 커뮤니티에 큰 파장을 끼치는 사안을 결정하게 된다.

    민족학교는 주민발의안 30번을 통과시키고 교육과 복지를 지켜 누구나 자신의 꿈을 이룰 수 있는 평등한 기회를 복원하기 위하여 선거 참여 캠페인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예산 논의에 선거를 통해 우리의 목소리를 내고 누구나 평등한 기회를 누릴 수 있는 이상인 아메리칸 드림을 지켜내자.

    # # #

  • 싸이의 강남스타일 중에서 눈폭풍 연출은 아기자기하게 보는 맛이 있다.. …

    싸이의 강남스타일 중에서 눈폭풍 연출은 아기자기하게 보는 맛이 있다..

    =============

    “이 정도야 식은 죽 먹기지.”
    PSY - GANGNAM STYLE (강남스타일) MV.mp4_000034117

    “내가 제일 잘나가!”

    PSY - GANGNAM STYLE (강남스타일) MV.mp4_000035368

    오른쪽: “내 얼굴이 제일 예뻐!”

    PSY - GANGNAM STYLE (강남스타일) MV.mp4_000036369

    ==================

    본방은 이거다

    PSY - GANGNAM STYLE (강남스타일) MV.mp4_000040540

    오른쪽: “아 숨막힌다 얼굴을 퍽퍽 때리네”

    PSY - GANGNAM STYLE (강남스타일) MV.mp4_000041916

    왼쪽 계속 가오 잡아보려 노력 중

    PSY - GANGNAM STYLE (강남스타일) MV.mp4_000042333

    ======================

    왼쪽 웃다가 입에 눈 들어갔음

    PSY - GANGNAM STYLE (강남스타일) MV.mp4_000041666

    왼쪽: “어머 제 입에 눈 들어갔어요 이거 NG 해요!”

    PSY - GANGNAM STYLE (강남스타일) MV.mp4_000043543

    (…..)

    PSY - GANGNAM STYLE (강남스타일) MV.mp4_000043710

    왼쪽: “에고 그럴 예산이 안 되나보네..”

    PSY - GANGNAM STYLE (강남스타일) MV.mp4_000046046

    ==================

    중간: “내 이름은 싸이, 혀가 얼어붙어도 촬영을 강행하는 사나이지!”

    PSY - GANGNAM STYLE (강남스타일) MV.mp4_000045712

    PSY - GANGNAM STYLE (강남스타일) MV.mp4_000044878

    PSY - GANGNAM STYLE (강남스타일) MV.mp4_000047589

    =========================

    보너스: 그런데 촬영중에 터넛 뒷편에서 자동차 불밫이?!?!

    PSY - GANGNAM STYLE (강남스타일) MV.mp4_000038580

  • 트위터도 업데가 잦아드는 '마의 서부 아침 7시'가 있습니다. 그럴 때 …

    트위터도 업데가 잦아드는 ‘마의 서부 아침 7시’가 있습니다. 그럴 때 중년 인기남들은 이러고 놉니다(…)

  • test 집전화 없는 사람들만 리트윗해보쇼. 도대체 집전화 있는 집이 어…

    test

  • 한인 아저씨들이 심심할때 나름 사회지식이랍시고 내놓는 인종의 환경…

    한인 아저씨들이 심심할때 나름 사회지식이랍시고 내놓는 인종의 환경 결정론을 보면

    1) 춥고 살기 어려워서 필요에 의해 열심히 살며 사회가 발전했다 (미국류)
    2) 환경이 안 좋아서 어느 정도 수준까지 밖에 발전을 못 한다.

    이 두가지 해석이 공존 할 수가 없는데도 이 두 논리는 별 고민 없이 계속 반복/유포된다.

  • 요즘 트위터 팔로워를 정리하면서 버려진 게정, 탐라인을 뒤덮는 계정 등을…

    요즘 트위터 팔로워를 정리하면서 버려진 게정, 탐라인을 뒤덮는 계정 등을 언팔하고 있는데 내가 영어 트윗을 거의 안 읽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같은 140자라 해도 영어보다 3배의 내용을 담으면서도 (기체에 빨간색 도료라도 칠한거냐!) 자수는 같고 읽는 속도도 30%밖에 안 늘어나는 내용이기 때문에 영어에서는 짧은 촌철살인이나 (그것도 성공해야..) 링크 제목으로 그치는데 비해 한글로는 이런저런 사족까지 담는 것이 가능하니 더 표현의 폭이 넓어지는 것이 당연하지

  • 지난 몇달간 발가락이 뻐근했는데 어쩌면 신발을 작은 것으로 신고 다녀서 …

    new shoes 지난 몇달간 발가락이 뻐근했는데 어쩌면 신발을 작은 것으로 신고 다녀서 그런 건지도 모르겠다. 10″를 신었는데 엄지가 끝에 닿지는 않지만 발가락을 펼쳤을 때 밑창이 같이 말려 올라가는 현상이 조금 있다. 그래서 11″ 를 찾아보았는데 없ㅋ엉ㅋ 대신 10.5″ 로 일단 사용해보기로. 이 모델은 예전 신발의 10.5″ 보다는 더 크고 그리고 결정적으로 디자인이 예쁘다. 우주 전함 야마토 갖잖아.. 실제로 신어보면 빨간색 밑창이 상당히 튀는 편. 이거랑 세트로 입을려고 까만 셔츠 주문.. 도착해서 입으면 본격 (무늬만) 아나르코신디칼리스트 간지가 구현되는 것인가 오오

    오른쪽은 옛 신발

  • 한국의 게시판 논쟁 글들은 읽어보면서 TV, 신문은 안 본 탓에 이름은 …

    한국의 게시판 논쟁 글들은 읽어보면서 TV, 신문은 안 본 탓에 이름은 알지만 얼굴을 한 번도 못 본 사람들이 많다. 강준만도 그런데, 그 묘사가 의인화되서 “강준만이 A를 비난해서 A가 인사를 고소하지 않았더라면 강준만도 B를 진행하지 않았을 것이다” 수준이 되면 자꾸 머리 속에서 구도가 그려지는데, 얼굴을 모르니 대충 비슷한 얼굴을 데려오게 되고 내가 아는 유일한 강씨는 삼국지V의 강유이기 때문에 강준만이 머리에 두건을 매고 매서운 눈빛으로 뒤돌아보는 구도가 그려지게 된다 (…)

이 사이트는 wpml.org에 개발 사이트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remove this banner의 프로덕션 사이트 키로 전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