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blog

  • 오늘부터 계획대로 더위 때문에 음식 조리는 당분간 중단하고…

    오늘부터 계획대로 더위 때문에 음식 조리는 당분간 중단하고 배달 음식만 먹는 나날들이 시작된다. 첫 음식을 시켰는데 이상하게 기본 옵션이 배달이 아니라 픽업으로 설정되서 주문되어버리고, 나는 그것도 모르고 앱만 쳐다보면서 룰룰랄라 기다리다가 조리가 다 끝나고 나서야 배달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제 취소도 안되고, 픽업 주문을 배달 주문으로 바꾸는 것도 안 된다. 식당에 전화해봐도 모든 결정권을 앱측에서 갖고 있어서 안될게 뻔하고, 타이식당이니 소통하는것도 일임. 식당을 직접 갔다오면 45분 정도 걸리는데, 오늘은 너무 바빠서 도무지 그런 시간을 낼 엄두가 안 난다.

    그냥 돈 버린 걸로 치고, 픽업을 취소하고, 같은 메뉴로 다시 배달을 주문했다. 그런데 두번째 주문에서 실수해서 기본 픽업 옵션을 배달로 바꾸는 단계를 놓쳐서 (잘 못 보고 그냥 진행 눌러버림) 또 픽업 주문을 했다! (ㅋㅋㅋㅋㅋ) 다행히 그건 즉시 취소해서 결제는 면했고, 세번째 시도에 드디어 배달로 주문하는것을 성공. 제발 식당측에서 상황을 눈치 채고 처음에 조리한 음식을 그대로 갖다줘서 음식 낭비만 피했으면 좋겠다. 음식은 잘 왔고 항상 그렇듯이 맛있었음. 역시 에어컨 때문에 기력 딸리는 날은 얼큰~~한 타이 파낭 카레가 최고지!

  • 그저께 그래픽카드 가격을 $110로 제시한 후에야 겨우 팔았는데…

    그저께 그래픽카드 가격을 $110로 제시한 후에야 겨우 팔았는데 ($140에 올려놓고는 $120에 제시하니까 한 사람은 $110, 다른 사람은 그 가격이면 훨씬 더 좋은거 산다며 $75 제시) 배송할때 이베이가 서비스를 배송회사와 연결해서 레이블을 뽑아주는 시스템이 있는데, 지금까지는 그걸로 했었는데 오늘 좀 더 자세히 각 USPS 옵션의 규격을 읽어보니 모두 박스의 규격에 미달한다. 근데 분명 이 16″x11″x4″ 박스는 지난번에 마더보드 팔 때 쓴 박스랑 사이즈가 비슷할텐데 왜 가능한 옵션이 없지? Fedex Smartpost $15 옵션에 보내기는 했는데, 지난번에 마더보드를 USPS로 보낼때는 무슨 서비스로 보냈는데 도무지 기억이 안 난다. 그때 제시된 배송옵션들을 다시 볼수는 없지만 레이블을 볼 수 있어서 열어보니 Priority 3-Day 이라고 하는데, 이게 무슨 서비스지?

    지난번에 내가 사이즈를 잘 안 보고 “이베이가 물건 규격과 무게를 갖고 있으니까 알아서 내가 사용가능한 옵션만 보여줬겠지~”하고 USPS Large Envelope 같은 옵션을 골랐는데 그 가격대의 규격이 안 맞음에도 USPS측에서 그냥 대충 보내준건가? 아니면 혹시 지금의 우편투표 난리 때문에 일부 서비스가 중단된건가? 가격 고르는 페이지에 “현재 USPS 배송 예상 기간이 평소보다 훨씬 느립니다. 다른 배송회사를 고려하세요”라고 나오긴 하던데.

  • 하우스 오브 카드 S2:26 피날레 봄 이하 일부…

    하우스 오브 카드 S2:26 피날레 봄

    (이하 일부 스포일러)

    벽돌에 맞은 건 처음에는 어이가 없었지만 생각해보니 지난 몇주간 공작을 위해, 실수를 만회하기 위해 마라톤을 달리면서 아주 컨디션이 제로였을 것이다. 그렇게 보면 충분히 개연성이 있네. 처음에 급히 위치를 옮기려고 찾아온 것은 해커의 역위협을 받고 나서 다시 약점을 보강하기 위해였었는데.. 대화를 나누면서 죽이려고 생각한 것일까? 일단 죽이려고 생각하기는 했나? 그렇다면 처음부터 죽일 작정이었을까? 아니 도대체 뭘 하려고 했던 걸까? 정황상 상대방의 입장에서는 목숨이 걱정되는 상황이기는 했는데. 차를 타고 가면서 상대방은 의미심장한 질문을 한다. Are you gonna hurt me? 이 시리즈에서 상대방은 hurt 라는 동사를 딱 한번 썼었다. 그 의원에 대해서 썼었지. 그리고 I’m not gonna hurt you if.. 라고 조건을 다는 순간 생명의 위협을 느꼈을 것이다.

  • 블루에이프런에서 현재 특정 식료품 공급회사의 양파에서&nbsp 살모넬라 균이…

    블루에이프런에서 현재 특정 식료품 공급회사의 양파에서 살모넬라 균이 검출되어 전국적으로 400명에서 발병했기 때문에 양파에 톰슨사 레이블이 붙어있으면 폐기하고, 어느 회사 것인지 확인이 안 될 경우에도 폐기하고, 그리고 그 양파와 접촉한 부분은 다 잘 씻을 것을 권고한다고 통지를 보내왔다. (어떻게 씻어야 하는거지? 도마 같은거는 물로 씻으면 되는거겠지? 생 닭고기도 그정도로 조치하니까)

    흠.. 지금  선반에 보면 양파가 4개 있는데 한개는 화요일에 블루에서 배달온거, 한개는 금요일에 디널리에서 배달온거, 한개는 지난 금요일에 디널리에서 온거, 하나는 지난주에 슈퍼에서 사온거다. 오늘은 샤바마를 만들려고 했는데, 금요일에 온 상자에서 토마토들이 금이 가있던것도 신경쓰이고, 그 박스에 양파도 같이 들어있었지. 그 어느 양파에도 레이블은 없다. 근데 토마토랑 양파를 다 버리면 슈퍼를 가야 하는데, 요 2-3일이 너무 덥고, 자전거는 아직 튜브를 안 갈았다. 그리고 등이랑 목 뼈가 아파서 자전거 튜브 교체는 좀 미루고 싶다. 뭐 보통 살모넬라 균에 노출되면 몸살 증상이나 있다는데 그냥 먹었다. 

    다음주에  이 양파를 넣은 요리를 두개 하게 되는데 그때 가서 새로 바꿔넣을지 생각해봐야겠다.

    우왕 두달전에 월세가 $1,800 수준이었던 1베드 아파트가 $1,535까지 내려왔다! 좋아 좋아 더 내려라.. 망해라

  • CPU도 $205 에 팔렸다 구매자가 중국에 거주하는데 사전에…

    CPU도 $205 에 팔렸다. 구매자가 중국에 거주하는데 사전에 “freight forwarding company”의 주소로 보내도 되냐고 해서 그게 뭔지 검색해보니 미국 국내에서만 판매되는 제품을 대신 받아서 다시 해외로 보내주는 회사인 모양. 가끔 사기 수법에 활용되서 그것때문에 사람들이 꺼리는 것 같은데, 결제와 국내 주소만 확실하면 문제 될 것이 없다는 사람들의 의견도 확고해서 국내 주소 가지고 장난치지만 않으면 딱히 문제될 것은 없다는 답변을 보내주었고, 구매자가 바로 결제했다.

    아마 사기 수법으로 활용할 때는 구매시 이베이측에 제공한 주소를 구매 직후 “어 다른 주소로 보내야 하는데..” 하면서 주소를 바꾸고, 그리고 거기로 보내면 못 받았다며 환불 요청하고, 이베이 입장에서는 원 주소로 안 간게 확실하니까 걸려드는 그런 수법이었겠지 아마?

  • 크롬 다크 모드 플러그인을 설치해서 2주째 써보고 있는데…

    크롬 다크 모드 플러그인을 설치해서 2주째 써보고 있는데, 퀄리티가 미묘하다. 상당히 공을 들인것 같은데, 그래도 여기저기서 문제가 생긴다.

    특히 레이어를 여러개 사용해서 멋을 부린 사이트들이 레이어가 중첩되는 부분이 완전히 안 보이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이런 사이트 하나 발견할때마다 하나씩 다크 모드 적용 예외 도메인에 넣는것도 상당히 반복적이고… 애드블락처럼 예외 사이트 추가를 간단하게 클릭몇번으로 되게 해놓으면 모를까, URL 복사 -> 플러그인 설정 화면 들어감 -> 맨 아래로 스크롤 -> 콤마 넣고 복붙 (다행히 그냥 URL 을 복붙하면 지가 알아서 도메인만 들어가도록 조정한다).

    너무 불편해서 조만간 제거하게 될 듯